작년말 잔액 21.2조원… 전년보다 12.2%나 늘어
보험사들의 주택담보대출이 지난해 12%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5.3%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2배가 넘는 증가세다. 보험사 신용대출도 10%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6월 은행권 가계대출을 억제하자 대출 신청자들이 보험사에 몰린 것으로 보고 보험사 대출에 부실이 없는지 점검에 나섰다.
14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53개 보험사의 지난해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1조 2000억원으로 2010년 말 18조 9000억원보다 2조 3000억원(12.2%) 늘었다.

지난해 초부터 11월까지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5.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최근 비정상적인 증가세로 우려가 일고 있는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농협·임협·수협 단위조합), 새마을금고, 우체국예금 등 비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율(11.8%)보다도 높다.
보험사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으나 하반기 들어서면서 급증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9조 4000억원으로 상반기 동안 5000억원(2.6%) 늘어났으나 하반기에는 1조 8000억원(9.3%)으로 4배 가까이 불어났다.
이는 금융당국이 지난해 6월 29일부터 은행권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보험사로 대출 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손해보험사가 저축성 보험을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생명보험사의 수익이 줄자 주택담보대출 영업을 늘린 것도 생보사 대출 급증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일부 생보사는 대출 홍보 전단지 배포는 물론, 약관 대출을 받은 고객에게 전화 등으로 부동산 담보대출 의향을 묻는 등 과잉 영업에 나섰다.
보험사의 신용대출 역시 지난해 10.1%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2010년 말부터 2011년 6월까지 32조 7000억원으로 제자리걸음이었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해 11월에 36조원으로 3조 3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은행·카드·저축은행 등의 대출 억제로 ‘풍선 효과’가 일어난 것이다.
금융당국은 보험권 대출에 대한 서면 조사를 마치고 이르면 다음 달부터 현장 점검에 착수할 계획이다. 지난해 1~11월 보험사의 전체 대출액은 8.4% 증가했다. 전체 예금취급기관 증가세(7.1%)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일부 대형 보험사는 지난해 대출액이 1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보험권 대출은 은행권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증가세가 너무 가파르다.”면서 “건전성 심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험계약대출(약관 대출)도 2010년 말 38조 1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41조 2000억원으로 2.8% 늘었지만, 이는 대출자의 보험료를 담보로 한 것이어서 부실 우려는 없는 것으로 금융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2-02-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