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들이 계열사 간 구조조정은 완화하고 인수·합병(M&A)을 통한 신규 사업 진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9일 공정거래위원회의 ‘2011년 기업결합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공정위가 심사한 국내외 기업결합 건수는 543건으로 전년(499건)에 비해 8.8% 늘었다. 이 중 국내기업에 의한 기업결합은 431건으로 전체의 79.4%를 차지했다.
국내기업이 경영효율성과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계열사 간 결합을 단행한 경우는 113건으로 나타났다. 2010년 131건에 비해 18건 감소한 것이다. 반면 다른 회사를 인수한 비계열사 간 결합은 2010년 290건에서 지난해 318건으로 확대됐다.
특히 신규사업 진출을 의미하는 혼합결합이 244건으로 전년의 220건보다 10.9% 늘었다. 기업들이 사업 통폐합 및 지배 관계 정리 등을 위한 계열사 간 구조조정은 줄이고, 새로운 업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SK텔레콤의 하이닉스반도체 M&A 계약, KT캐피탈의 BC카드 지분 인수, 현대모비스의 녹십자생명보험 주식 취득 등이 대표적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관련된 기업결합이 202건으로 전년 157건에 비해 28.7%나 증가했다. 제조업 중에서도 전기·전자(46→67건)와 석유화학·의학(33→42건), 식·음료(8→21건) 등의 분야에서 기업결합이 활발했다. 반면 서비스업은 2010년 264건에서 지난해 229건으로 13.3% 감소했다.
자산총액 5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회사와 관련된 기업결합 건수는 169건으로 전년(202건)에 비해 16.3% 감소했다. 그러나 결합금액은 26조원으로 전년(19조 7000억원)보다 32% 증가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1-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