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하급 군인인 공자의 아버지 공흘은 64세에 공자를 낳았다. 세살 때 아버지가 죽은 뒤 어머니와 함께 집에서 쫓겨난 공자는 온갖 멸시와 천대를 받으며 불우한 청소년 시절을 보냈다. 공자는 어린 시절 고난을 극복하고 성자의 반열에 올랐고 사후 그의 고향인 산둥성 취푸시에 공자 사당인 공부가 건축됐다. 중국 황실의 주관으로 마련된 사당은 그 규모가 자금성에 버금갈 정도로 화려하고 웅장했다. 황제가 제를 올리는 가옥인 대성전에는 용의 모양을 본떠 황금으로 만든 기둥 10개를 세우고 황금 기와를 얹었다.
공부에는 매년 황제를 비롯해 귀족, 관리 등 수많은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공자는 생전에 제자들을 대접할 요량으로 직접 술을 빚었는데 이 술이 공부가주다. 제자까지 섬기는 공자의 정신을 이어받은 후손들은 이후 공자가 빚었던 주조 방법 그대로 술을 빚어 사당을 방문하는 손님들을 대접했고 이 전통은 2500년간 지속됐다.
중국 정부는 공부가주의 전통적 생산 방식을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기 위해 곡부공부가주양조유한공사를 설립했다. 2008년 유한공사 사장은 공부가주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술로 개발하라고 지시, 2년간 연구·개발 끝에 세상에 나온 것이 ‘독’이다. 유한공사는 이 술을 통해 점점 퇴색해 가는 공자의 섬김과 정성의 가르침을 다시금 일깨우는 계기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이렇듯 독은 힘든 세상에서 공자를 닮아 자신 지켜내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는 술이다. 35도, 250㎖.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2-01-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