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통계 조사방식 개편] 통계의 함정 “국민은 헷갈려”

[물가통계 조사방식 개편] 통계의 함정 “국민은 헷갈려”

입력 2011-11-30 00:00
업데이트 2011-11-3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영업자 늘었다는데 폐업자만 보이고…심화되는 지표·실물 괴리

통계청이 소비자물가 지수를 실생활이 밀접하게 반영되도록 개선했지만 지표와 실물의 차이는 여전히 크다. 자영업자는 늘어나는데 주위엔 폐업하는 사람들이 더 눈에 띄고, 고용은 ‘대박’이라는데 실직자외 취업희망자는 넘쳐난다. 교양·오락 및 문화생활비 지출 전망에 대한 소비자심리지수(CSI)나 국내외 여행비 지출 CSI는 마이너스(-)로 나타나고 있지만 실제 영화관람객이나 항공기 이용객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거꾸로 가는 지표 때문에 국민들은 헷갈린다.

●실업자 넘치는데 고용은 대박?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교양·오락 및 문화생활비 지출 전망 CSI와 국내외 여행비지출전망 CSI 모두 지난 3월 이후 9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각각 94, 88을 기록하며 지난해 11월보다 3.1%, 3.3% 감소했다. 100을 밑돌면 6개월 뒤 영화·여행 등의 지출을 줄이겠다는 의미다.

하지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관람객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9월 13.7%, 10월 56.2%, 11월 15.2%(29일 집계)가 증가했다. 한국일반여행업협회에 따르면 여행사의 여행항공권 판매액도 8월 21.2%, 9월 17.1% 늘었다. 영화 관람객과 해외 여행객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 같은 괴리는 실물지표와 금융지표에서도 나타난다. 11월 전체 CSI는 2개월간 증가해 103을 기록했고,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88로 3개월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CSI 집계기간인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코스피지수는 24.3포인트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10월 실업률이 2.9%로 하락하는 등 고용지표가 좋아지면서 사람들이 실물은 좋게 인식하고 금융시장은 유럽 악재 때문에 암울하게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고용 대박’은 실제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실업자와 취업희망자들을 볼 때 통계의 함정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전배승 한화증권 이코노미스트는 “CSI는 높게 나오고 있지만 실제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소비는 가계부채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하향세일 것”이라면서 “CSI 지수가 일반 소비자에게 설문을 한 결과이다 보니 실제와는 다른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흔들리는 자영업자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자영업자는 올해 초에 비해 지난달 말 8.5%(44만 8000명)가 증가했다. 그럼에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위에 폐업하는 사람이 더 눈에 띄는 것은 서울의 경우 오히려 자영업자가 0.8%(8000명)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전국에서 직원을 두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있는 자영업자는 3.2%(4만 7000명) 늘어난 반면, 직원이 없는 영세 자영업자는 10.5%(40만명)가 증가했다.

●지난달 수입>수출 불황형 흑자

한국은행은 이날 10월 경상흑자가 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는 수입이 수출보다 더 많이 줄어 생긴 ‘불황형 흑자’였다. 정부 관계자는 “통계가 최대한 현실을 반영하도록 할 계획”이라면서 “반면 실생활에서는 좋은 소식보다 나쁜 소식이 더 눈에 띄고 대부분 평균을 이용하는 통계의 기본적인 특성상 반영이 힘든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이경주·임주형기자

kdlrudwn@seoul.co.kr

2011-11-30 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