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건희회장 “전경련 맡는것 불가능”

이건희회장 “전경련 맡는것 불가능”

입력 2011-01-12 00:00
업데이트 2011-01-12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력한 차기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후보였던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1일 “전경련 회장을 맡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이미지 확대
이건희(오른쪽 두번째) 삼성전자 회장과 부인 홍라희(가운데) 여사가 11일 오전 김포공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 회장은 전용기를 타고 일본으로 출국, 게이단렌 등 주요 경제단체 인사들과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
이건희(오른쪽 두번째) 삼성전자 회장과 부인 홍라희(가운데) 여사가 11일 오전 김포공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 회장은 전용기를 타고 일본으로 출국, 게이단렌 등 주요 경제단체 인사들과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하지만 이 회장의 고사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대안이 없어 전경련 회장 부재 상태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 김포공항에서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전경련 회장직 수락 의향에 대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동계올림픽 유치 활동도 있고 삼성그룹 자체를 키우는 데도 힘이 벅찬데 전경련까지 맡으면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7월 전경련 회장단이 삼성의 영빈관인 승지원을 방문해 이 회장에게 회장직 수락 요청을 했을 때 삼성 측은 ‘정중한 거절을 했다.’고 설명했다. 9월에도 이 회장은 “일이 하도 많고 몸도 별로 안 좋고….”라면서 회장직에 대한 부정적인 의사를 내비쳤다.

그러나 전경련은 이후에도 ‘이건희 카드’를 포기하지 않았다.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11월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서 “승지원을 방문했을 때 3~5개월 정도 시간을 가지며 지켜보자고 이 회장이 답했다.”면서 불씨를 살렸다.

하지만 이 회장이 직접 회장직 수락을 거부하면서 전경련은 더 이상 이 회장을 고집하기 힘들게 됐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두달 전에도 전경련 측에 이 회장의 거부 의사를 직접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일단 1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신년 회장단 회의에서 차기 회장 문제를 논의할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마땅한 대안이 없어 회장단 회의에서도 별다른 결론이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자칫 전경련 회장 공석 상태가 조석래 현 회장의 임기인 2월 말을 넘어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과 구본무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은 이미 거부 의사를 밝힌 데다 이 회장이 거부한 제안을 수용하기 어려운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준용(73) 대림산업 회장과 박영주(70) 이건산업 회장, 박용현(68) 두산그룹 회장 등 회장단 내 연장자들이 대안으로 점쳐지고 있지만 ‘재계 맏형’으로서의 전경련의 위상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한 재계 관계자는 “차기 회장이 국내 재계에서 상징성을 지닌 이 회장의 ‘대타’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회장은 “겉모양은 삼성전자가 일본 기업을 앞서지만 속(부품)은 아직까지 (일본을) 따라가려면 많은 시간과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일본에서 더 배울 게 많다. 한참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삼성전자가 소니 등 일본 기업들을 능가하는 실적을 거두고 있지만 자만하지 말고 실력을 키우며 항상 도전하는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평소 생각을 다시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이어 일본에서 할 일을 묻자 “새해도 됐고 해서 기업 관계자들과 여러분을 만나고, 친구들도 볼 것”이라면서 “일본에는 열흘 정도 머무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01-12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