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쉽고 보기 편한 ‘인체공학적 지면’… 언제 어디서든 펼치세요

읽기 쉽고 보기 편한 ‘인체공학적 지면’… 언제 어디서든 펼치세요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24-06-16 18:38
수정 2024-06-17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대판·타블로이드판 사이 ‘베를리너판’120년 역사의 서울신문이 판형을 바꾸기로 결정한 이유는 베를리너판(유로판)이 현존하는 신문 판형 가운데 가장 ‘읽기 쉽고 보기 편한’ 지면을 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신문 사이즈의 유형은 60여 가지로 다양하지만 대략 3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신문들이 주로 채택해 온 가장 큰 판형인 대판(가로 394㎜, 세로 540㎜)과 가장 작은 타블로이드판(가로 272㎜, 세로 391㎜·콤팩트판)이 있고 중간 사이즈인 베를리너판(가로 323㎜, 세로 470㎜)이 있습니다.

대판은 신문을 펼치면 어깨너비 이상 팔이 벌어져 불편하고 시선도 분산돼 집중해서 읽기 어렵습니다. 타블로이드판이 집중도 면에서는 가장 탁월하지만,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獨·유럽·美 언론, 독자 주목률 높아져베를리너판은 신문을 쫙 펼쳐도 두 팔이 몸에서 떨어지지 않아 읽기 편하고 시선의 이동 범위도 작아 눈이 덜 피곤합니다. 한 번만 접으면 가방에 쏙 들어가 휴대도 간편합니다. 인체공학적으로 가장 완벽한 판형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베를리너 판형이 처음 탄생한 독일은 물론 유럽과 미국의 유수 언론들은 대부분 이 판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신문들이 판형을 줄인 이후 독자들이 얼마나 주목해서 읽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인 주목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도 많습니다.

신문의 역사를 살펴보면 선진국 주요 신문들은 계속해서 판형을 줄여 왔습니다. 독자 친화적인 신문을 만들어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으려는 몸부림이었습니다. 세계신문협회(WAN) 자료에 따르면 주요 77개국 상위 10위권 신문의 60% 이상이 판형을 줄였습니다. 실제로 영국의 가디언·더 타임스·인디펜던트, 프랑스의 르몽드와 르피가로, 미국의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USA투데이, 스페인의 엘파이스, 스위스의 노이에 취리히 차이퉁 등이 베를리너 판형 또는 베를리너 판형과 흡사한 사이즈로 신문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1개 면에 2~3개 기사로 ‘선택·집중’베를리너판은 디지털 콘텐츠와 궁합이 가장 잘 맞는 지면이기도 합니다. 대판 신문의 경우 1개 면에 기사를 3~5개 나열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이 힘듭니다. 그러나 베를리너판에서는 1개 면에 2~3개 기사만 들어가기 때문에 기사 선택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습니다. 선택된 기사가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도록 강한 포인트를 주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많은 기자와 데스크가 엄선하고 정제한 콘텐츠는 디지털 플랫폼과 지면에 동시에 실을 수 있어 지면용 기사와 디지털용 기사를 따로 생산할 필요가 적어집니다. 온·오프 콘텐츠 융합이 쉬워져 기자들은 더 깊고 풍성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데 힘을 쏟게 됩니다.

디지털 콘텐츠·그래픽 뉴스 채우다베를리너 판형으로의 변화는 ‘읽는 신문’에서 ‘보는 신문’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좌우 양면을 펼치는 스프레드 편집에는 기사의 이해도를 높이는 인포그래픽과 사진, 이미지 등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뉴스를 글로만 읽는 시대는 이미 지났습니다. 복잡한 사안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그래픽은 기사의 장식품이 아니라 하나의 완성된 고품질 기사입니다. 서울신문은 어려운 내용을 눈과 머리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래픽 뉴스를 지면 곳곳에 배치할 예정입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신문사는 두 개의 커다란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하나의 위기는 디지털 시대의 가속화라는 외부 변화에 신문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발생했고, 또 다른 위기는 부정확하고 편향적인 보도로 독자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서울신문은 베를리너판으로의 전환이 단순한 외형 변화에 그치지 않도록 콘텐츠 생산의 의식과 틀을 끊임없이 혁신해 독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주도하는 한국 대표 언론으로 거듭나겠습니다.
2024-06-17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