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안컵] 울다가 웃었다

[동아시안컵] 울다가 웃었다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8-10 00:02
업데이트 2015-08-10 0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슈틸리케호 동아시안컵 7년 만에 우승… 북한과 비겼지만 일본·중국 무승부 기록한 덕에 힘겹게 ‘정상’

한국 남자축구 대표팀이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축구선수권대회(이하 동아시안컵)에서 세 번 만난 북한과 세 차례 연속 무승부에 그쳐 자력 우승을 날린 뒤 중국과 무승부를 이룬 일본 덕에 7년 만에 정상에 섰다.

이미지 확대
남자축구 대표팀 김승대(왼쪽 아래)가 9일 중국 우한 스포츠센터에서 벌어진 북한과의 동아시안컵 최종전에서 득점 없이 비겨 자력 우승이 물 건너가자 허탈한 모습으로 그라운드에 앉아 있다. 그러나 이어진 경기에서 일본이 중국과 1-1로 비긴 덕에 한국 남자축구는 7년 만에 대회 정상에 복귀했다. 우한 연합뉴스
남자축구 대표팀 김승대(왼쪽 아래)가 9일 중국 우한 스포츠센터에서 벌어진 북한과의 동아시안컵 최종전에서 득점 없이 비겨 자력 우승이 물 건너가자 허탈한 모습으로 그라운드에 앉아 있다. 그러나 이어진 경기에서 일본이 중국과 1-1로 비긴 덕에 한국 남자축구는 7년 만에 대회 정상에 복귀했다.
우한 연합뉴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9일 중국 우한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북한과의 대회 3차전 최종전에서 전·후반 90분 동안 일방적인 공세를 퍼붓고도 득점 사냥에 실패해 0-0으로 비겼다.

이에 따라 대표팀은 1승2무(승점5)로 대회를 모두 마쳐 승점 1 차이로 중국에 쫓겼지만 이어 열린 경기에서 중국과 극적으로 1-1 무승부를 이끌어낸 일본의 투지에 힘입어 중국을 승점 1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2003년 시작된 이 대회 우승도 세 차례로 늘려 대회 최다 우승국이 됐다.

한국은 최종전을 치른 북한과의 역대 전적에서 6승8무1패를 기록하며 최근 10경기 연속 무패(3승7무)를 이어 갔다. 그러나 북한이 참가하기 시작한 동아시안컵에서는 세 번 연속 무승부에 그치는 묘한 징크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은 북한과 2005년과 2008년 두 차례 이 대회에서 만나 각각 0-0과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특히 2008년에는 염기훈의 전반 선제골에 정대세가 후반 동점골로 맞불을 놓기도 했다.

이날도 이길 수 있었던 절대 우위의 전력 차에도 불구하고 결정적 한 방이 없어 아쉬웠다. 더욱이 몸을 아끼지 않고 분전한 북한 골키퍼 리명국의 ‘슈퍼세이브’가 돋보였다.

‘병장’ 이정협(상주)을 원톱으로 내세운 슈틸리케호는 좌우 날개에 이종호(전남)와 이재성(전북), 섀도 스트라이커에 김승대(포항)를 배치한 4-2-3-1 전술로 나섰다.

전반 4분 오버래핑에 나선 왼쪽 풀백 이주용(전북)의 위협적인 슈팅으로 공격의 포문을 연 한국은 전반 8분 페널티 지역 왼쪽으로 침투한 권창훈(수원)의 슈팅이 크로스바를 넘어가 아쉬움을 남겼다. 12분에는 이종호의 강력한 중거리포가 리명국 정면으로 향했고, 전반 40분 이재성의 왼발 슈팅도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후반 13분 권창훈의 왼쪽 측면 크로스가 북한 수비수의 오른팔에 맞고 터치라인 밖으로 나가면서 페널티킥을 얻는 듯했지만 주심이 제대로 보지 못해 득점 기회를 날렸다. 28분 골 지역 정면에서 시도한 이정협의 슈팅은 리명국의 얼굴을 맞고 골대를 벗어났다. 한국은 후반 막판 투입된 김신욱(울산)이 골 지역 정면에서 때린 슈팅마저 리명국의 선방에 막혀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한 채 안타까운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자력 우승이 물 건너간 상황에서 일본은 전반 10분 중국 우레이에게 선제골을 내줬지만 전반 41분 왼쪽을 돌파한 요네쿠라 고키의 크로스를 무토 유키가 동점골로 연결해 1-1 무승부로 균형을 맞추며 한국에 7년 만의 우승을 선물했다. 슈틸리케 감독은 “득점을 하지 못한 부분만 빼면 정말 좋았던 경기”라며 아쉬움과 기대감을 동시에 드러냈다. 그는 “그동안 보여준 모습으로 볼 때 우리는 충분히 우승할 수 있는 팀”이라고 강조했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5-08-10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