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승 합작 ‘코리아 천하’… 고진영은 한국인 첫 전관왕

15승 합작 ‘코리아 천하’… 고진영은 한국인 첫 전관왕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9-11-25 18:04
업데이트 2019-11-26 0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PGA 2019 시즌 휩쓴 한국 선수들

이미지 확대
25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의 티뷰론 골프클럽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019시즌 최종전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 마지막 라운드에서 고진영이 힘차게 샷을 날리고 있다. 네이플스(플로리다) 게티/AFP 연합뉴스
25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의 티뷰론 골프클럽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019시즌 최종전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 마지막 라운드에서 고진영이 힘차게 샷을 날리고 있다.
네이플스(플로리다) 게티/AFP 연합뉴스
한국 여자골프 선수들이 올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를 주름잡았다. 세계랭킹, 상금랭킹, 올해의 선수, 신인왕 등 각종 기록을 모조리 한국 선수들이 휩쓸었다. 그 중심에 ‘전관왕’ 고진영(24)이 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25일(한국시간) 막을 내린 LPGA 투어 2019시즌 최종전 CME 그룹 투어 챔피언십에서 김세영(26)이 우승하면서 올해 한국 선수들은 LGPA 투어 32개 가운데 절반 가량인 15승을 합작했다. 15승은 2015년과 2017년에 이어 한 시즌 최다 우승 타이 기록이다. 세계랭킹 1위 고진영이 메이저대회 2승을 비롯해 4승을 올렸고 김세영이 3승, 박성현(26)이 2승을 올렸다. 거기다 국내에서 열린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역시 2017년 국내무대로 복귀한 장하나(27)가 차지했다.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뛰어넘진 못했지만 개인 수상까지 감안하면 역대 최고 시즌이라고 할 만 했다. ANA 인스퍼레이션과 에비앙 챔피언십, US 오픈 등 5대 메이저대회 가운데 3개 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이 정상에 올랐다. 신인왕도 5년 연속 한국 선수들 몫이었다. 2015년 김세영, 2016년 전인지(25), 2017년 박성현(26), 2018년 고진영에 이어 올해는 이정은(23)이 차지했다.

LPGA를 휩쓴 한국 선수들 중에서도 가장 빛난 건 고진영이었다. 고진영은 한국 선수 처음으로 올해의 선수상, 안니카 메이저 어워드, 상금왕, 베어트로피(최저타수상), 리더스 톱10까지 독식했다. 한국 선수가 한 시즌에 올해의 선수상과 상금왕, 베어트로피를 동시에 석권한 건 고진영이 처음이다. 고진영은 상금 순위도 277만 3894달러(약 32억 6764만원)로 2009년 신지애(31), 2010년 최나연(32), 2012·2013년 박인비(31), 2017년 박성현에 이어 한국 선수로 통산 6번째 상금왕에 올랐다. 2위와 3위 역시 김세영(275만 3099달러)과 이정은(205만 2103달러)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LPGA 투어는 2020년 1월 16일 미국 플로리다주 레이크 부에나비스타에서 막을 올리는 다이아몬드 리조트 챔피언스 토너먼트로 2020시즌을 시작한다. 내년 6월 기준 세계 랭킹으로 15위 안에 든 한국 선수 상위 4명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는 만큼 선수들 간의 순위 경쟁도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11-26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