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두 번째 심판설명회 주요 자료, 비디오 판독과 플라핑

KBL 두 번째 심판설명회 주요 자료, 비디오 판독과 플라핑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2-27 11:59
업데이트 2019-02-27 1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L 제공
KBL 제공
한국농구연맹(KBL)은 26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KBL 센터 5층 교육장에서 심판 설명회 및 경기 규칙 설명회를 가졌다.

출입기자 30여명에 중계사인 MBC스포츠플러스의 김승현·최연길·김일두 해설위원까지 참석해 홍기환 KBL 심판부장이 진행한 설명에 눈과 귀를 모았다. 이 자리에서 주요하게 다룬 페이크(플라핑) 반칙과 U파울, 최근 이슈가 됐던 문제들에 대한 설명들은 농구 전문 매체나 스포츠전문지들의 소개를 통해 어느 정도 알려졌다.

KBL은 1시간 30분여 홍기환 부장의 설명, 30분을 훌쩍 넘긴 질의응답 시간을 마친 뒤 홍 부장의 설명이 되는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보도자료로 배포했다.

2라운드를 마친 뒤인 지난해 12월 취재진 대상 첫 설명회 이후 일부 매체들이 일부 선수들의 실명까지 포함해 플라핑은 정말 없어져야 한다고 보도했는데 그 뒤에도 플라핑 지적은 오히려 늘었다. KBL은 거듭된 취재진의 실명 공개 요구에 이날도 “선수들과 구단들의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KBL 관계자는 “선수들의 항의가 쏟아지는 것을 보면 그들 스스로도 창피한 일이란 점을 자각하기 때문이 아닌가 본다”고 했다.

더욱 문제는 1차 설명회 때 눈에 띈 외국 선수들의 플라핑 지적이 되레 엄청 늘었다는 점이다. 심지어 KBL 코트 두 번째 경기에서 이런 지나친 동작을 하는 선수도 있었다고 했다.

비디오 판독에 대해서도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심판이 자신이 없어 하는 것인지, 아니면 감독의 요구를 뿌리치기 어려워 마지 못해 하는 것인지를 장내 아나운서나 중계진에 해달라는 주문이 있었고, 이것이 옳은지를 둘러싸고도 약간의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민감하고 예민한 문제이긴 하지만 연맹이 공식적으로 취재진에게 한 설명회 프레젠테이션 자료라 플라핑과 비디오 판독에 대한 통계 자료를 싣는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