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공서열 중심 1군 심판… ‘젊은 눈’도 기회주면 안될까요

연공서열 중심 1군 심판… ‘젊은 눈’도 기회주면 안될까요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05-10 20:27
업데이트 2020-05-10 2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4년 4월 30일 광주KIA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프로야구 KIA와 SK의 경기에서 오심에 흥분한 한 야구팬(오른쪽)이 6회 말이 끝난 뒤 그라운드에 난입해 박근영 심판의 목을 조르고 있다. 광주 강영조 기자kanjo@sportsseoul.com
2014년 4월 30일 광주KIA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프로야구 KIA와 SK의 경기에서 오심에 흥분한 한 야구팬(오른쪽)이 6회 말이 끝난 뒤 그라운드에 난입해 박근영 심판의 목을 조르고 있다. 광주 강영조 기자kanjo@sportsseoul.com
한화 이용규가 스트라이크존 일관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한 뒤 프로야구 심판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쏟아지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해당 심판조를 강등시키며 강한 경고 메시지를 줬고, 로봇 심판 도입을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심판승강제를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심판진의 서열 중심 문화를 탈피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020 프로야구 개막 기준 1군 심판 명단을 보면 연공서열 중심으로 편성돼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92년 데뷔한 최고참 나광남 심판을 비롯해 1990년대 입사한 심판 14명 전원이 1군 심판으로 등록됐고, 2000~2009년 입사한 심판은 13명, 2010년대 입사 심판은 4명이 1군에 등록됐다. 반면 퓨처스리그는 2006년 입사한 황인태 심판이 최고참이고 21명의 퓨처스 심판 중 2010년 이후 입사자가 19명에 달한다.

허운 심판위원장은 1군 심판 등록 기준에 대해 “심판은 경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존 1군 심판들이 건강이나 신체에 이상이 없으면 다음해에도 1군 심판으로 활동한다”고 설명했다. KBO가 지난해 심판승강제 도입으로 정성 평가가 아닌 정량 평가를 기준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기존의 관례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젊은 심판들의 1군 진입도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허 위원장은 “저연차 심판들은 3년차까지는 기본기를 배우고, 이후 기량이 월등하면 제도상으로는 1군에 올라올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과거에는 심판들이 곧바로 1군에 투입되기도 했지만 달리 요즘은 육성 시스템이 있어 단계를 밟고 올라가야 한다. 선수들은 한 번에 1군 진입이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심판진은 연차가 쌓여야 1군 심판을 볼 수 있다”고 했다.

프로야구는 0.3~0.4초 사이에 투수의 공이 미트에 꽂힐 만큼 찰나가 지배하는 스포츠다. 그만큼 시력이 중요한 종목으로 스즈키 이치로 등 뛰어난 타자들도 시력 감퇴로 인한 기량 저하를 보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보스턴대학이 발표한 2008~2018 통산 심판 콜 비율. Call이 정확한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린 것이고, Bad Call이 볼을 스트라이크로 부른 경우다. 나쁜 콜 비율(BCR)이 낮을수록 판정의 정확도가 높다는 뜻이다.
보스턴대학이 발표한 2008~2018 통산 심판 콜 비율. Call이 정확한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린 것이고, Bad Call이 볼을 스트라이크로 부른 경우다. 나쁜 콜 비율(BCR)이 낮을수록 판정의 정확도가 높다는 뜻이다.
실제로 지난해 보스턴대학교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8~2018년 메이저리그 심판 스트라이크콜의 정확도에서 최상위 10명 심판진의 경력이 평균 2.7년에 달하는 젊은 심판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최하위 10명은 평균 20.6년의 경력, 평균 56.1세의 나이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력 29년차 61세의 제리 레인이 14.18%의 BCR로 가장 나쁜 선구안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야구통계 전문 사이트 SB네이션의 브라이언 콜 기자도 2014년에 쓴 기사에서 PITCHf/x(메이저리그 투구분석 시스템) 분석 결과 같은 연령대에도 심판별로 기량의 차이는 있지만 심판들에게도 에이징커브가 드러난다고 밝혔다.

물론 심판이 단순히 스트라이크 판정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 상황을 다양하게 조율해야 하는 만큼 베테랑 심판의 역할도 중요하다. 양팀 벤치를 조율하는 능력은 선배들을 상대해야하는 젊은 심판보다 훨씬 나을 수 있고, 현장 경험과 규정과 관련해서는 더 깊이있게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다. 베테랑 심판 중에도 명판정을 내리는 심판도 있다.

그러나 심판의 기본 역할인 스트라이크·볼 판정, 아웃·세이프 판정 등은 빠른 눈과 판단력과 같은 신체적인 능력이 요구되는 분야라는 점에서 젊은 심판들도 베테랑 심판 못지 않게 역량을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 심판이 제대로 된 판정을 내린다면 감독이나 선수들의 항의도 줄어들 수 있다는 점에서 젊은 심판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KBO 1군 심판은 1967~1978년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현역 최고참인 1979년생 박용택보다 야구 선배들이 많다. 허 위원장은 “2군 투수와 1군 투수는 공의 빠르기와 변화가 다르다”면서 “2군에서 아무리 월등하다고 해도 1군에 오면 다시 적응을 해야하기 때문에 1군 심판과 경쟁이 어렵다. 2군에서 1등을 하더라도 1군에 올라오면 아무리 잘해도 하위권에 머문다”고 설명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