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시즌 확대·리얼리티 쇼 추진…메이저리그, 흥행 위해 변화 택했다

포스트시즌 확대·리얼리티 쇼 추진…메이저리그, 흥행 위해 변화 택했다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0-02-11 22:28
업데이트 2020-02-1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트시즌 2개팀씩 추가 출전 검토…승률 높은 팀이 생방송서 상대 지명

한국 프로야구는 위기의식조차 없어
외국인선수 확대 등 개혁 외면 빈축
이미지 확대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의 워싱턴 내셔널스가 지난해 10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미닛 메이드 파크에서 열린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2019 월드시리즈 7차전에서 6-2로 승리한 뒤 창단 50년 만에 최초로 우승한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미국 휴스턴 UPI 연합뉴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의 워싱턴 내셔널스가 지난해 10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미닛 메이드 파크에서 열린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2019 월드시리즈 7차전에서 6-2로 승리한 뒤 창단 50년 만에 최초로 우승한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미국 휴스턴 UPI 연합뉴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이 흥행을 위해 포스트시즌 게임에 2개팀을 추가하고 포스트시즌 대진표 결정을 리얼리티 TV쇼 스타일로 하는 파격적 방안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최근 선수들의 기량 저하로 관중 수가 감소하고 있는 한국 프로야구는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확대와 같은 본질적 개혁을 외면해 빈축을 사고 있다.

11일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MLB 사무국은 2022년부터 포스트시즌 확대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다. 현재는 양대 리그(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우승한 2팀이 월드시리즈에서 최종 우승을 가리며, 그전에 각 리그에서 지구 우승자 3팀과 그다음으로 승률이 높은 와일드카드 2팀이 리그 우승자를 가린다.

MLB 사무국은 여기에 2팀을 더 올려 총 7개팀이 맞붙게 하자는 구상이다. 리그 최고 승률로 지구 우승을 차지한 팀은 디비전시리즈에 직행하고, 나머지 6팀이 3전 2선승제로 맞붙는 식이다. 단 상위 3팀이 상대를 결정한다. 리그 승률 2위로 지구 우승을 차지한 팀이 먼저 상대를 고르고, 리그 승률 3위 지구 우승팀, 와일드카드 1위 순으로 상대를 정한다.

상대를 지명하는 과정은 TV를 통해 미국 전역에 생방송된다. MLB 사무국은 지명 과정에서의 치열한 전략과 수싸움을 지켜보는 재미를 줄 것으로 기대했다. 이처럼 파격적 방안까지 검토하고 나선 건 젊은층을 야구팬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다.

반면 한국 프로야구의 경우 최근 2년간 100만명 이상의 관객이 줄어 위기에 처한 가운데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달 21일 올해 첫 이사회를 열어 FA 기간 1년 단축 및 샐러리 캡(연봉 상한) 도입을 골자로 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경기력 향상의 핵심인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확대 규정을 제대로 손보지 않고 수박 겉핥기식으로 고친 것을 놓고 ‘선수들 밥그릇 지키기’를 깨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KBO는 “2020년부터 외국인 선수를 기존 ‘3명 등록, 2명 출전’에서 ‘3명 등록, 3명 출전’으로 변경해 구단의 선수 기용 폭을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2023년부터 구단이 육성형 외국인 선수를 투수, 타자 각 1명을 두기로 했다. 이는 외국인 보유·출전 제한이 없는 MLB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가 없고 4명 출전이 가능한 일본 프로야구(NPB) 수준으로는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외면한 것이다.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2020-02-12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