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사자굴 ‘용’ 꿈틀

[프로야구] 사자굴 ‘용’ 꿈틀

심현희 기자
입력 2016-02-25 23:42
업데이트 2016-02-2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이 선택한 ‘거포 유망주’ 나성용

세번째로 옮긴 둥지… 광주 출신이라서 대구 조금 낯설지만 마지막이라는 각오
1루 수비 가다듬어 1군서 기회 잡을 것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뛰고 있습니다.”

25일 일본 오키나와현 온나손 아키마 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삼성과 한화의 연습경기를 앞두고 만난 나성용(28·삼성)의 얼굴은 자외선 차단제로 하얗게 번져 있었다. 평소보다 검게 그을린 손과 목에서 남다른 각오가 느껴졌다. “삼성이 세 번째 팀입니다. 이제 내년이면 저도 서른인데, 이제 더이상 ‘거포 유망주’라는 꼬리표를 떼고 뭔가 보여줘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최선을 다해 훈련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나성용(삼성)이 25일 일본 오키나와현 온나손 아키마 구장에서 “올해는 ‘거포 유망주’라는 꼬리표를 떼고 뭔가 보여주겠다”며 각오를 밝히고 있다.
나성용(삼성)이 25일 일본 오키나와현 온나손 아키마 구장에서 “올해는 ‘거포 유망주’라는 꼬리표를 떼고 뭔가 보여주겠다”며 각오를 밝히고 있다.
지난해 11월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삼성에 합류한 나성용은 NC의 거포 외야수 나성범(26)의 친형으로 더 잘 알려졌다. 지난해 6월에는 나성범과의 맞대결에서 형제 동반 홈런을 기록하며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나성용은 광주 진흥고와 연세대를 거쳐 2011년 한화에 포수로 입단했지만 그해 송신영의 자유계약(FA) 보상선수로 LG에 둥지를 틀었다. 군 제대 후 지난 시즌 LG 1군 무대에 데뷔해 시즌 초반 4번 타자를 맡을 정도로 타격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좀처럼 맞는 수비 포지션을 찾지 못해 30경기 출전에 그쳐야 했다.

지난해 11월 LG가 나성용을 40인 보호선수 명단에서 제외하자 삼성이 그를 선택했다. 이승엽, 최형우, 박한이 등 주축 타자 절반 이상이 좌타자인 삼성은 우타자 박석민과 나바로를 떠나보낸 후 중요한 순간 ‘한 방’을 쳐줄 우타 거포 스타일의 나성용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나성용도 지난 15일 SK와의 연습경기에서 홈런을 기록하는 등 오키나와에서 출전한 연습 경기마다 안타를 기록하면서 올 시즌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LG 보호명단에 들지 않아) 다른 팀으로 갈 거라고 예상은 하고 있었는데, 삼성으로 오게 될 줄은 정말 몰랐어요. 광주 출신이라 대구에는 친척도 없거든요. 하지만 지금 팀에 오른손 대타가 필요한 상황이잖아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동생(나성범)도 열심히 해서 기회를 잡으라고 격려해 주었습니다.”

나성용은 현재 수비를 가다듬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는 “지난 시즌에는 수비가 안 돼 시합을 자주 못 나가 타격감을 유지하는 게 힘들었다”며 “올 시즌 수비 연습을 더 해서 시합에 많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그는 “며칠 전 1루수 보직을 받았다”며 “그동안 포수, 외야수 등 포지션을 여러 번 바꿨는데 이제 내게 제일 잘 맞는 자리를 찾은 것 같다”며 활짝 웃었다.

“올 시즌 ‘타율 몇 할’같은 수치상의 목표보다는 1군에 남아 팀에 꼭 필요한 선수가 되고 싶어요. (이)승엽 선배님이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지 정신적인 부분에 대해 조언해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어떤 조언을 해주냐고요. 비밀입니다. 그걸 알면 모두 다 좋은 선수가 될 테니까요(웃음).”

글 사진 오키나와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6-02-26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