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도핑 결정적 제보 스테파노바 위치정보 해킹당했다

러 도핑 결정적 제보 스테파노바 위치정보 해킹당했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8-14 06:00
업데이트 2016-08-14 0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의 조직적 도핑(금지약물 복용) 실태를 제보한 러시아 육상 선수 율리야 스테파노바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홈페이지 계정이 해킹을 당해 안전이 우려된다고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경고했다. 스테파노바는 러시아의 조직적 음모를 폭로한 뒤 러시아반도핑기구 간부였던 남편 비탈리와 함께 모처에 숨어 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 부부의 안전이 위협받게 된 것이다.

WADA는 14일 성명을 내고 “관련 있는 사법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WADA의 반도핑행정관리시스템(ADAMS)에는 선수들이 자신의 소재를 입력하고 세계 어느 곳에서 반도핑 검사에 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WADA는 이 시스템에 대한 정기 안전 모니터링 결과 스테파노바 말고 다른 이가 그녀의 계정에 접속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AP 자료사진
AP 자료사진
스테파노바 부부는 지난달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새로운 거처가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들은 “WADA가 처음부터 우리의 안전을 걱정했으며 우리가 갖고 있는 정보와 우리를 보호하려고 노력해왔다”며 “불행하게도 우리의 행동에 대한 조국의 반응은 긍정적이지 못하다. 많은 일반인과 선수들이 우리가 한 짓을 증오하고 있어 우리는 즉각 러시아로 돌아가기 어렵다. 거기에서 우리는 안전하지 않다고 느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부부의 폭로를 계기로 WADA와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러시아 육상 선수 68명 중 67명을 출전 금지시켰고 당시 유일하게 출전이 허용됐던 다리야 클리쉬나도 최근 IAAF가 새로운 정보를 입수했다며 이번 대회 여자 멀리뛰기 예선을 앞두고 갑자기 출전하지 못한다고 통보했다.

이번 대회 여자 800m에 출전하려 했던 스테파노바 역시 혈액검사에 제대로 응하지 않아 2년 동안 출전 정지당했던 전력 때문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출전 정지당했다. IAAF는 출전해도 된다는 입장이었지만 IOC가 최종 권한을 갖고 있어 결국 출전하지 못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