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지아, 리우] 춤이야 무술이야… 흑인 무예 ‘카포에이라’를 아십니까

[봉지아, 리우] 춤이야 무술이야… 흑인 무예 ‘카포에이라’를 아십니까

최병규 기자
입력 2016-08-09 22:54
업데이트 2016-08-10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 노예 호신 수단으로 개발…1974년 국가스포츠 자리매김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도전

이미지 확대
지난 8일 사우바도르의 성 바실리카성당 앞 광장에서 두 명의 카포에이리스타스가 카포에이라 공연을 하고 있다.
지난 8일 사우바도르의 성 바실리카성당 앞 광장에서 두 명의 카포에이리스타스가 카포에이라 공연을 하고 있다.
삼바와 축구로 대표되는 브라질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가 ‘카포에이라’라는 무예다.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사실 카포에이라를 빼놓고는 ‘아프로-브라질’의 본질을 이해하기 힘들다. 약 500년 전 브라질 땅을 발견한 포르투갈인들은 광활한 사탕수수 농장을 경작할 일손이 절대 부족했고, 이를 위해 아프리카 앙골라, 콩고 등지의 흑인들을 노예로 부리기 위해 배에 실어 날랐다.

대서양을 건너와 손과 발이 묶인 채 매질을 당하며 일하던 흑인 노예들은 점차 주인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호신 수단이 필요하게 됐는데, 그래서 개발한 것이 카포에이라라는 독특한 무예다. 언뜻 보면 중국의 우슈나 태극권처럼 유려한 몸동작이 주를 이루고, 심지어는 춤사위를 보는 듯 동작 하나하나가 부드럽기 짝이 없다.

무기를 소지하는 것은 물론 무술도 금지됐던 노예들이 실제로는 싸움의 수단이기는 하지만 격렬한 동작을 자제하고 은폐하기 위해 마치 춤 동작 같은 무술을 만든 것이다.

19세기 말 브라질에서 노예 해방이 이루어진 뒤 카포에이라는 스포츠로 합법화됐고, 1974년에는 국가스포츠로 자리매김했다. 2014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뒤 카포에이라는 이제 올림픽의 문도 두드리고 있는 중이다. 2011년 6월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린 제3차 국제 카포에이라 포럼에서 국제연맹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4개월 만에 에스토니아 탈린에 본부를 둔 세계카포에이라연맹(WCF)이 출범했다. 카포에이라를 전 세계에 보급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스포츠 종목으로 부각시켜 궁극적으로는 올림픽 무대로 진출시키는 것이 WCF의 설립 목적이다.

카포에이라는 쇠사슬에 묶인 채 오직 생존을 위해 만들어낸 흑인 노예들의 눈물 젖은 무술이다. 춤과 노래, 악기가 어우러지는 ‘아프로-브라질’ 문화의 한 축을 이루는 종합예술로 발전한 카포에이라는 이제 올림픽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글 사진 리우데자네이루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6-08-10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