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포털만 막으면 끝? 악플러는 선수 소셜미디어 노린다

[생각나눔] 포털만 막으면 끝? 악플러는 선수 소셜미디어 노린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08-09 20:20
업데이트 2020-08-11 09: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포츠 기사 댓글 폐지, 실효성은

네이버 “선수들 고통 커… 이달 중 중단”
오지환, 아내가 악플러 고소 의사 밝혀
인터넷 커뮤니티 등 ‘풍선 효과’ 우려에
“악플러 제재 시스템 마련 시급” 의견도
한국배구연맹 인스타그램 캡처
한국배구연맹 인스타그램 캡처
배구 선수 고유민의 사망 이후 한국배구연맹(KOVO)이 포털사이트에 스포츠 기사 댓글 개선책을 공식 요청하는 등 악플 문제가 스포츠계에서 다시 불거지자 포털사이트들이 연예 기사 댓글에 이어 스포츠 기사 댓글 폐지에 나섰다. 공인이라는 이유로 지나친 비난을 받는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한편으로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악플이 더 심해질 수 있어 근본적인 대안은 아니라는 우려도 함께 제기된다.

네이버는 지난 7일 “각종 스포츠 소식을 전하는 뉴스마다 이용자들이 직접 작성한 댓글이 등록되며 기쁨과 아쉬움을 나누는 공간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며 “다만 아쉽게도 일부 선수를 표적으로 명예를 훼손하고 비하하는 댓글은 꾸준히 생성됐고 그로 인해 상처받는 선수의 고통이 간과할 수준을 넘는다는 판단에 따라 댓글을 잠정 폐지하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네이버는 이달 중 중단할 예정이고 다음은 7일 폐지했다.

스포츠 선수들을 향한 악성 댓글은 성적에 따른 평가를 넘어 인신공격성 발언으로까지 이어져 문제였다. 오랫동안 악플에 시달린 야구 선수 오지환의 경우 그의 아내 김영은씨가 최근 악플러 고소에 나서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조치로 스포츠 악플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제대로 뿌리를 뽑기 위해서는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선수들을 향한 악플은 포털사이트뿐 아니라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는 물론 선수 개인의 소셜미디어까지도 뻗쳐 있어 ‘풍선 효과’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여자농구 선수 박지수는 서울신문에 “악플 보내는 사람들 때문에 소셜미디어를 닫았다가 최근에 농구 행사 홍보 때문에 다시 열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포털사이트 스포츠 기사 댓글 폐쇄로 선수 개인공간이 더 많은 침해를 받게 만드는 것보다는 차라리 접근성이 높은 포털사이트에서 기술적으로 악플 노출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신고 시스템 등을 강화해 악플러에게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개선하는 게 더 낫다는 의견은 그래서 나온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0-08-10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