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 깬 ‘엄마 스프린터’

편견 깬 ‘엄마 스프린터’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9-10-07 17:54
업데이트 2019-10-08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펠릭스 세계육상선수권 金 13개 최다 등 ‘출산 뒤 기량 저하’ 인식에 맞서 맹활약

이미지 확대
앨리슨 펠릭스. AP 연합뉴스
앨리슨 펠릭스.
AP 연합뉴스
7일(한국시간) 폐막한 2019 도하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가장 빛난 건 스포츠계의 편견을 깨 버린 ‘엄마 스프린터’들이었다. 이들은 “여성 선수는 출산 뒤 급격하게 기량이 떨어진다”는 인식을 실력으로 뒤집었다.

가장 많이 회자된 선수는 이번 대회에서 개인 통산 13번째 금메달을 목에 건 앨리슨 펠릭스(34·미국)였다. 혼성 1600m 계주와 여자 1600m 계주에서 잇달아 금메달을 보탠 그는 우사인 볼트가 세운 세계선수권 최다 금메달 기록(11개)을 넘었다. 남녀 통틀어 세계선수권 최다 메달리스트(18개)이기도 한 펠릭스는 ‘출산 후 선수들의 후원금을 삭감하거나 중단’하는 스포츠 브랜드들에 정면으로 맞섰고, 이번 대회를 통해 ‘여성과 어머니의 권리와 책임’을 대표하는 선수로 부상했다.

니아 알리(31·미국)는 대회 마지막 날인 7일 여자 100m 허들에서 12초34의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첫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땄다. 알리는 4살짜리 아들과 돌이 지난 딸과 함께 트랙을 돌며 기쁨을 만끽했다. 그는 이번 대회를 앞두고 “아이를 얻는 건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 왜 ‘출산은 사람을 약하게 만든다’고 오해할까”라며 “어머니가 된 후에는 성공할 수 없는가.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리고 출산 전보다 좋은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자메이카의 셸리 앤 프레이저 프라이스(33)는 여자 100m 결선에서 10초71의 개인 두 번째로 좋은 기록(개인 최고 기록 10초70)을 세우며 정상에 올랐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10-08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