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기운을 모아…순실 딛고 평창 날다

세계의 기운을 모아…순실 딛고 평창 날다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6-11-25 22:56
업데이트 2016-11-26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테스트이벤트 시작… 비리 얼룩 벗기 총력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25일 시작된 테스트 이벤트를 통해 이미지 쇄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캐나다의 다르시 샤프가 25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에서 평창동계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로 열린 국제스키연맹(FIS) 스노보드 빅 에어 남자 예선 경기에서 화려한 공중 회전 연기를 펼치고 있다. 샤프는 이날 예선 2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사진은 샤프의 공중 묘기를 다중촬영한 것이다. 평창 연합뉴스
캐나다의 다르시 샤프가 25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에서 평창동계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로 열린 국제스키연맹(FIS) 스노보드 빅 에어 남자 예선 경기에서 화려한 공중 회전 연기를 펼치고 있다. 샤프는 이날 예선 2조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사진은 샤프의 공중 묘기를 다중촬영한 것이다.
평창 연합뉴스
이날 강원 평창에서 열린 2016~17시즌 첫 테스트 이벤트인 국제스키연맹(FIS) 스노보드 월드컵을 참관한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장은 최순실씨 등이 평창올림픽의 각종 이권에 개입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 “그럴 개연성이야 있었을지 모르지만 모든 계약 관계를 점검한 결과 그들이 이권에 개입한 것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평창은 (최씨 등의) 표적이었을 뿐, 비리의 온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올림픽이 440여일 남았다고 하지만 사실상 오늘부터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며 “이번 빅 에어 대회도 외국 관계자들로부터 시설이 좋고 준비 상황이 잘됐다는 평을 많이 듣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NBC 방송이 테스트 이벤트를 100시간 중계하기로 한 것도 평창을 외국에 알리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면서 “올림픽을 최대한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모두가 힘을 합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세라 루이스 FIS 사무총장은 이날 알펜시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회에 실력이 우수한 선수들이 많이 왔다”면서 “테스트 이벤트이기 때문에 경미한 부분에 부족함이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그는 최순실 사태와 관련해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리라고 생각하며 오히려 세계에 한국과 평창의 힘을 보여줄 기회”라고 전망했다.

이날 경기에 참가한 한국 선수들은 아쉽게 결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1년여 남은 동계올림픽에서 선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민식(17·청명고)은 남자 예선 1조 경기에서 1차 시기 68.75점을 받았지만 2차 시기에서 낮은 점수에 그치며 1조 선수 27명 가운데 15위에 올랐다. 최준하(20·백석대)는 1차 시기에서 15.25점으로 부진했으나 2차 시기에서 49.25점으로 만회하며 예선 19위로 대회를 마쳤다. 2조에서 경기한 김경욱(16·창원중)은 1차 시기 16.50점으로 28명 가운데 26위에 머물렀다. 이민식은 “오늘 관중이 많이 와서 더 재미있는 것 같다. 올림픽 때는 더 많을 텐데 빨리 올림픽이 열리면 좋겠다”면서 “기술을 더 완벽히 습득해서 1년 정도 남은 올림픽 무대에 꼭 서고 싶다”고 다짐했다.

한편 예선 1조에서는 세바스티앙 투탕(캐나다)이 96.75점으로 1위에 올랐고 타일러 니컬슨(캐나다)이 91.75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2조에서는 다르시 샤프(캐나다)가 94.00점으로 1위를 했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남자 슬로프스타일에서 동메달을 딴 마크 맥모리스(23·캐나다)는 예선 2조 4위로 경기를 마친 뒤 “경기장도 멋있고, 분위기가 아주 훌륭했다”고 경기를 치른 소감을 밝혔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6-11-26 1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