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김병찬 금메달, 고물상 대신 박물관으로

故김병찬 금메달, 고물상 대신 박물관으로

입력 2016-06-16 23:06
업데이트 2016-06-17 0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억의 공간’ 생긴 비운의 역도 스타

강원도역도연맹, 도 체육회관 전시 고려
2019년 완공 국립체육박물관 이관 예정

비운의 역도스타 고(故) 김병찬(사망 당시 46세)씨의 금메달이 강원도 체육회관을 거쳐 국립체육박물관에 자리를 잡는다. 김씨가 교통사고 등으로 외로운 죽음을 맞이하면서 그의 각종 메달과 상장 등이 고물상으로 넘겨질 뻔했다.

강원도역도연맹은 오는 7월에 새로 지어지는 도 체육회관에 김씨의 메달과 상장 등을 전시하는 방법을 우선 고려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김씨의 배다른 형제가 메달 등 유품에 대해서 소유권을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힘으로써 메달 10여개와 상장을 도 체육회관에 전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어 2019년 김씨의 메달 등은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 들어서는 국립체육박물관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진흥공단과 도 역도연맹은 국립체육박물관에 김씨의 메달과 상장을 보관하는 방법을 두고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김재근 도 역도연맹 전무이사는 “우선 도 체육회관이 완공되면 전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으며, 많은 분이 김병찬 선수를 기억할 수 있도록 국립체육박물관에 전시하는 등 여러 방법을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물건 더미에 섞여 고물상으로 보내질 뻔했던 김씨의 10여개 메달과 상장을 김씨의 지인이 챙기면서 딱한 사연이 알려졌다.

김씨는 1990년 베이징아시안게임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역도 스타 반열에 올랐으나 1996년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면서 역도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2013년 초 식도암 진단까지 받은 그는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며 병마와 싸우다 지난해 6월 26일 쓸쓸한 죽음을 맞이했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6-06-17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