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감 넘쳤던 무하마드 알리의 삶···그의 따뜻했던 인간애

자신감 넘쳤던 무하마드 알리의 삶···그의 따뜻했던 인간애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6-04 16:23
업데이트 2016-06-04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흑인 차별에 맞선 무하마드 알리
흑인 차별에 맞선 무하마드 알리 세계의 복싱 영웅 무하마드 알리(왼쪽)가 1967년 당시 흑인 인권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었던 마틴 루터 킹(오른쪽) 목사와 인터뷰를 하는 모습. A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전설의 복서 무하마드 알리는 뛰어난 권투 실력만큼 화려한 언변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1964년 2월 당시 세계 챔피언 소니 리스턴과의 대결을 앞두고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는 말은 많은 사람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그의 자신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말이다.

프로 통산 56승(KO승 37회) 5패를 거둔 선수답게 알리는 상대 선수에게 주눅들지 않기 위해 자기 과시적인 말을 쏟아냈다. “나 정도로 위대하면 겸손하기 어렵다”랄지 “슈퍼맨은 안전벨트가 필요 없다”, “난 이 세상의 왕이다”라는 말들이 있다.

하지만 알리가 이런 말들을 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내가 링에 오르기 전에 시끄럽게 떠벌리는 것은, 미지의 상대에 대한 공포심 때문이었다.”

그러면서 알리는 “나는 훈련하는 모든 시간이 힘들었다. 그러나 나는 그때마다 말했다. 포기하지 말라. 지금은 고통이지만 남은 나의 일생을 챔피언으로서 살 것이다”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알리는 미국 사회의 흑인 차별에 저항하는 인권 운동가이기도 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라이트 헤비급 경기에서 딴 금메달을 “메달이 흑인을 멸시하는 현실을 바꿔주지 않는다”며 호수에 던져버린 일은 유명하다.

미국의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징집에도 “베트콩 중에는 나를 검둥이(Nigger)라고 부르는 사람이 없다”면서 병역을 거부했다. 이에 알리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로 통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알리는 “왜 천사 그림에는 백인만 있고 흑인은 없느냐”는 말로 인종 차별에 경종을 울렸고, 복싱을 “두 흑인 남자가 서로를 두드려 패는 것을 많은 백인 남자가 지켜보는 것”이라고 규정하며 흑인을 차별하는 미국 사회에 쓴소리를 던졌다.

하지만 이렇게 재치와 기지가 넘쳤던 알리도 병마 앞에서는 무력했다. 알리는 1984년 복서 은퇴 3년 만에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30년 넘게 투병 생활을 해왔다. 그러나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뒤에도 알리는 “하느님이 이 세상 최고는 내가 아니라 당신이라는 점을 알려주시려고 나한테 이런 병을 주신 것 같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