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다리 없이 우뚝 선 청년

두 다리 없이 우뚝 선 청년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4-21 23:26
업데이트 2016-04-22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교 마지막 경기 치른 美 레슬러 셰이버 감동

두 다리가 없는 미국 고교 레슬러 선수가 당당하게 매트 위를 구르는 모습이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이미지 확대
태어날 때부터 두 다리가 없었던 미국 고교생 레슬러 시온 셰이버(왼쪽)가 지난달 오하이오주에서 열린 포스트시즌 대회인 ‘타이거 타운 인비테이셔널’ 패자부활전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상대 공격을 막아내고 있다. ESPN 홈페이지 캡처
태어날 때부터 두 다리가 없었던 미국 고교생 레슬러 시온 셰이버(왼쪽)가 지난달 오하이오주에서 열린 포스트시즌 대회인 ‘타이거 타운 인비테이셔널’ 패자부활전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상대 공격을 막아내고 있다.
ESPN 홈페이지 캡처
미국 스포츠 전문 방송인 ESPN은 21일 미국 오하이오주 북동부의 마실론 워싱턴 고교 3학년 시온 셰이버(19)가 지난달 오하이오주 고교들의 포스트시즌 대회인 ‘타이거 타운 인비테이셔널’에 출전, 자신의 고교 시절 마지막 대회를 마무리하는 모습을 소개했다.

ESPN에 따르면 1997년 이 주의 콜럼버스에서 태어난 그는 날 때부터 두 다리가 없었다. 하반신이 없는 그의 몸무게는 40㎏을 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48㎏ 이상급 출전이 허용됐는데 이 학교 레슬링팀에서 가장 강한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자신의 몸무게와 맞먹는 40㎏짜리 바벨을 번쩍 들어 올릴 정도로 힘이 좋다.

이미지 확대
시온 셰이버
시온 셰이버
올 시즌을 20승4패로 시작한 그는 디비전 본선에 올랐으나 이날 두 번째 경기에서 지며 고교 시절 경력을 33승15패로 마감했다. 경기가 끝난 뒤 코치가 그를 들어 올려 힘껏 껴안으며 축하하자 관중들은 기립 박수를 보냈다. 방송은 이 모습이 훗날 그의 인생을 담은 영화의 피날레로 쓰여도 좋을 것 같다고 소개했다.

어릴 적 거리에 버려져 위탁양육 가정을 전전하고 그 바람에 전학을 밥 먹듯이 했던 그는 두 살 때부터 시작한 레슬링으로 삶의 위안과 목표를 찾았다.

팔다리가 모두 없는 조지아주 고교생 레슬러 출신으로 나중에 유명 강연가가 됐으며 최근에는 킬리만자로 정상까지 기어 올라가 화제가 된 카일 메이너드(30)가 쓴 책 ‘핑계 대지 마’를 어릴 적에 읽었다고 말했다. 셰이버는 “그는 내가 닮고 싶어하는 유형의 인물”이라고 강조했다.

22년 동안 레슬링 코치로 일한 질 도너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각에서 코치 일을 바라보게 했다. 당신이라면 다리가 없는 아이를 어떻게 가르치겠는가”라면서 “우리는 그가 성공한 기술과 사용할 수조차 없는 기술을 구분해낸 뒤 그의 몸에 맞춰 쓸 수 있는 기술들만 갈고닦아 그만의 플레이 스타일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셰이버는 비장애 선수들과 똑같은 규칙을 적용받는데 단 하나 예외가 있다. 코치들이 오하이오주선수협회에 편지를 써서 셰이버가 늘 중립 포지션에서 경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를 인정받은 것이다.

그는 2년 전 수많은 아이들을 위탁받아 길러낸 킴벌리 호킨스를 처음 만나 지난 2월 입양 절차를 마쳤다. 셰이버를 아들로 받아들인 호킨스는 아들이 디비전 진출을 확정하자 격하게 끌어안고 “시온은 역경을 극복해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준다. 우리는 독특하고 특별한 유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켄트주립대에 진학할 예정인 그는 건축학을 전공하며 그 대학 레슬링팀에 들어갔으면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 레슬링 말고도 좋아하는 일이 많다. 교회 밴드의 드러머이며 트럼펫도 곧잘 연주하고 학교 합창단원이기도 하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6-04-22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