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의 전쟁’ 고수는 짧게 친다

‘쩐의 전쟁’ 고수는 짧게 친다

입력 2011-09-29 00:00
업데이트 2011-09-2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유럽무대 도널드와 국내무대 김경태, 상금왕 앞둔 비결

세계 랭킹 1위 루크 도널드(34·잉글랜드)와 한국의 간판스타 김경태(25·신한금융그룹)는 닮은 점이 많다. 일단 투어 두 곳에서 동시에 상금왕을 노린다. 도널드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와 유럽프로골프(EPGA) 투어, 김경태는 한국프로골프투어(KGT)와 일본프로골프투어(JGTO) 상금왕에 도전한다. 올 시즌 이렇게 뛰어난 성적을 거두게 된 비결도 같다. 왜소한 체격의 단점을 귀신같은 쇼트게임 능력으로 만회한 ‘역발상’이 그것이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는 PGA 투어에서 시즌 상금 583만 7214달러로 2위 웹 심슨(미국·576만 8243달러)을 제치고 28일 현재 상금 선두다. EPGA 투어에서도 377만 8199유로를 벌어들여 2위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215만 1474유로)를 150만 유로 이상 앞선다. 심슨이 PGA 투어 가을 시리즈 대회에 출전해 20위권 안에 들지 못하면 도널드가 사상 최초로 미국과 유럽에서 동시에 상금왕을 석권할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이상하다. 175㎝, 73㎏으로 유럽인치고는 작은 체격인 도널드는 드라이브샷 비거리도 284.4야드밖에 나오지 않는다. PGA 투어에서 이 부문 146위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아이언샷이 그리 뛰어난 것도 아니다. 그린 적중률(파온으로 볼을 그린 위에 올리는 확률)이 66.93%로 35위라는 그저 그런 성적이다. 그런 도널드를 최고로 만든 것이 쇼트게임이다. 체격의 한계상 롱게임으로는 승부를 볼 수 없으니 정교함으로 승부를 본 것이다. PGA투어만 쓰는 퍼팅능력 측정 통계인 ‘퍼팅으로 획득한 타수(롱퍼팅일수록 가산점을 매기는 방식)’ 부문에서 도널드는 그린당 0.773개로 1위를 달리고 있다. 파온에 실패한 뒤 파나 버디를 잡는 비율인 스크램블링도 63.47%로 7위. 비거리가 안 나도 웨지샷이나 퍼팅으로 만회를 하니 평균 타수가 68.86타로 PGA 투어 선수 중 가장 낮다.

김경태 역시 체격에서부터 한계가 있다. 177㎝, 73㎏인 김경태도 드라이브샷 비거리는 280.64야드로 JGTO에서 53위에 그친다. 김경태도 도널드와 같은 전략을 쓴다. 그린 적중률은 68.98%로 이 부문 3위, 미스샷을 만회하는 비율로 스크램블링과 비슷한 개념인 리커버리 평균도 1위(69.65%)다. 평균 퍼팅 수도 그린당 1.724로 2위를 달리고 있어 평균 타수가 69.21타로 투어에서 가장 적을 수밖에 없다. 김경태는 KGT에서 3억 7700만원으로 상금 1위인 홍순상(30·SK텔레콤)에 이어 2위(3억 6400만원)에 올랐고, 일본에서도 6909만여엔으로 이시카와 료(6925만여엔)에 이어 상금 부문 2위(국제대회 포함)에 랭크됐다. 호쾌한 장타보다는 정교한 쇼트게임을 앞세워 상금왕 등극을 노리는 도널드와 김경태는 ‘드라이브는 쇼, 퍼트는 돈’이라는 골프 속담을 온몸으로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1-09-29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