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A 휩쓰는 ‘벨리퍼터’가 뭐기에…

PGA 휩쓰는 ‘벨리퍼터’가 뭐기에…

입력 2011-09-15 00:00
업데이트 2011-09-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브래드 팩슨(50·미국)은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역사상 ‘3대 퍼팅 고수’로 손꼽히는 전설적인 인물이다. 그가 지난 주말 트위터에 엄청난 글을 올렸다.

이미지 확대
●브룸스틱퍼터와 ‘롱퍼터’로 불려

“나도 벨리퍼터 샀다!” 최근까지만 해도 팩슨은 “벨리퍼터는 퍼팅에 난조를 겪는 사람들이 마지막에 찾는 대안일 뿐”이라며 쓰지 않겠다고 공언해왔다.

보통 퍼터로 고수의 반열에 오른 그가 벨리퍼터를 쓴다는 것은 배신에 가까운 일. 그런 그가 “요즘 하도 벨리퍼터를 찾길래 궁금해서 사봤다.”며 한발 물러났다고 AP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이제 PGA 투어에서 벨리퍼터는 유행을 넘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보통 퍼터(33~35인치)보다 약간 긴 벨리퍼터(40~41인치)는 샤프트 끝을 배꼽에 대고 퍼팅을 하도록 고안됐다. 이보다 더 길어 가슴이나 턱에 대고 퍼팅을 할 수 있는 브룸스틱퍼터(46~50인치)와 함께 ‘롱 퍼터’로 불린다. 2000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소니오픈에서 폴 에이징어(51)가 벨리퍼터로 우승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지난달 벨리퍼터를 쓰는 3명이 연속 PGA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화제의 중심에 섰다.

●선수들 작년보다 3배 더 사용

지난 2월부터 브룸스틱퍼터를 쓰기 시작한 아담 스콧(미국)이 지난달 8일 브리지스톤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며 물꼬를 텄고, 1주일 뒤 벨리퍼터를 쓰는 키건 브래들리(미국)가 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메이저 대회에서 롱퍼터로 우승을 거둔 첫 선수로 기록됐다.

그 다음 주에는 웹 심슨(미국)이 벨리퍼터로 윈덤 챔피언십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PGA 투어 플레이오프 1차전인 바클레이스 대회에서 더스틴 존슨(미국)이 우승하면서 연승 행진은 막을 내렸지만 2차전인 도이체방크 챔피언십에서 심슨이 다시 우승하면서 인기에 불을 지폈다. 보통 퍼터를 쓰던 필 미켈슨(미국)도 이 대회에서 벨리퍼터를 들고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재작년과 지난해 바클레이스 대회에서 롱퍼터를 사용한 선수는 각각 6명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0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현재 PGA 투어 선수의 15%가량이 롱퍼터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보다 무려 3배나 많아진 수치다.

●정교해 일직선 공 칠 때 유리

원래 롱퍼터는 퍼팅 난조를 겪는 골퍼나 필드에서 산만해지기 쉬운 노년층이 주로 사용해 교정·치료용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최근 프로골퍼들이 롱퍼터를 들고 필드에 나타나는 이유는 정교함 때문이다. 퍼터를 몸에 붙이는 특성상 퍼팅의 기본인 시계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공을 일직선으로 보내기 쉽다는 것이다.

롱퍼터로는 제대로 된 퍼팅 실력을 가늠할 수 없어 공정성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있지만 현재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왕립골프협회(R&A)에서는 규제를 하지 않는다. 규칙에는 18인치보다 짧은 퍼터를 사용할 수 없다고만 되어있을 뿐 긴 퍼터에는 제한이 없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1-09-15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