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평창이다”

“이제는 평창이다”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민국의 2022년 월드컵축구대회 유치는 실패했지만 아쉬움을 털고 또 다른 도전에 나선다. 강원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다.

내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더반. 지난 6월 남아공월드컵 개최 도시이기도 한 이곳에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가 열린다.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놓고 독일의 뮌헨, 프랑스 안시와 함께 평창이 또 한번의 표대결을 벌인다. 지난해 ‘삼수’를 선언한 뒤 갑작스러운 2022년 월드컵 유치 추진에 대해 평창은 “월드컵과 동계올림픽은 별개의 대회다. 동시 유치도 문제될 것 없지 않으냐.”고 했지만 속은 타들어갔다. “한국이 국제대회를 독식한다.”는 경쟁국과 국제 스포츠계의 견제가 불보듯 뻔했기 때문이다.

월드컵 유치가 무산된 3일 아침. 이광재 강원지사는 기자설명회를 열고 두 유치위원회에 ‘위로와 분발’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 지사는 “월드컵과 올림픽 정신이 전 대륙으로 퍼지는 것이 추세인 만큼 이제 동계올림픽도 북미와 유럽이 아닌 아시아에서 개최할 때가 됐다.”면서 “같은 2018년 아시아(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을 하고 이어 러시아에서 월드컵을 하면 좋지 않겠느냐.”고 청사진을 그렸다. 사실, 현재 한국 스포츠의 외교 역량을 감안하면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무리였다. 그런데 이제 ‘감점 요인’ 하나가 줄었다. 평창의 올림픽 유치에 탄력이 생긴 것이다.

그러나 평창의 7월은 장밋빛일까. 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112명 IOC 위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22명의 국제축구연맹(FIFA) 집행위원 투표로 결정되는 월드컵보다 더욱 변수가 많다. 새로운 카드가 필요하다. 개최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IOC 위원들의 ‘표심’을 흔들려면 ‘한반도 평화’라는, 케케묵은 설정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 올림픽과 월드컵은 개최지 선정 투표 방식이 똑같다. 과반수 득표가 나오지 않으면 단계별로 최하위 후보를 탈락시키는 방식이다. 소수 득표로 선정되는 폐단을 막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유럽세에 견줘 ‘합종연횡’할 수 있는 공통분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한국엔 불리할 수밖에 없다. 두 차례나 실패한 만큼 보다 치밀한 전략과 전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건 유치를 위한 국민들의 관심과 성원을 이끌어내는 일이다. 유치위원회가 아무리 잘한들, 국민의 뜻이 없다면, 그건 한낱 모래성에 지나지 않는다. 월드컵 실패. 평창엔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교훈이다.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이 이날 새벽 “국내에서 월드컵 유치에 대한 큰 관심이 없었던 게 아쉽다. 국가적 지원에서도 카타르에 졌다.”는 말은 평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올림픽 유치는 유치위원회가 아니라 전 국민이 하는 것이다.

최병규·춘천 조한종기자

cbk91065@seoul.co.kr
2010-12-04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