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대변신’ 許할까

‘인천의 대변신’ 許할까

입력 2010-08-23 00:00
업데이트 2010-08-2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허정무(55) 전 국가대표팀 감독이 프로축구 K-리그 인천의 새 사령탑에 올랐다.

인천은 22일 이를 발표하며 “23일 오전 11시 인천시청에서 구단주인 송영길 시장과 함께 취임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이로써 허 감독은 1993년 포항, 1995년과 2005년 전남에 이어 네 번째로 프로축구팀 감독 생활을 시작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허정무 전 국가대표팀 감독 스포츠서울
허정무 전 국가대표팀 감독
스포츠서울
허 감독은 남아공월드컵에서 ‘유쾌한 도전’이란 슬로건 아래 선수들 스스로 생각하고 경기를 풀어나가는 자율축구를 바탕으로 원정 첫 16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프로팀 감독 시절의 허 감독은 ‘진돗개’라는 별명이 말해주듯 철저한 승부사의다면모를 보여 대조적이다.

허 감독이 처음 감독직을 맡았던 포항은 1993년 K-리그의 전신이었던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6개 팀 가운데 4위에 그쳤다. 하지만 리그컵 대회였던 아디다스컵에선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전남에서는 리그 준우승과 FA컵 우승을 이끌었다. 2006년 전남 감독 시절 리그 7위에 그쳤지만 FA컵을 들어 올렸고, 2007년에도 리그에서는 10위로 저조했지만 FA컵 대회에서는 우승했다. 허 감독은 팀 전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경기마다 발생하는 주요 선수들의 부상 등 변수를 고려해 팀의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 뒤 전력투구했다. 장기 레이스인 리그보다는 토너먼트로 승부를 가리는 컵대회에 강점을 보인 것도 이 때문이다.

유난히 지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 때문에 무승부도 많았다. 2006년 전남은 리그에서 7승13무6패로 각각 8승과 9승을 거둬 승수에서 앞선 대구와 부산을 제치고 6위에 올랐다. 이 때문에 그에게는 ‘무승부 감독’이라는 불명예도 따랐다.

2007년 대표팀 감독을 맡은 뒤 승부사가 아니라 ‘덕장’으로 변모했다. 혼자 팀 전력과 경기 운영에 대해 고민했던 예전과 달리, 박지성(29·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영표(33·알 힐랄) 등 고참급 선수들과 격의 없이 토론했다. 그리고 권위를 나눠줬다. 박지성이 중원의 사령관 역할을 했고, 이영표에게는 수비진의 지휘를 맡겼다. 결과는 나쁘지 않았다.

인천은 K-리그 15개 팀 가운데 유난히 전력의 불균형이 강한 팀이다. 공격에는 리그 득점 1위 유병수(22)가 있지만 팀의 리그 25득점 가운데 12골을 유병수가 책임졌다. 공격루트가 단순하다는 뜻이다. 경험 많은 수비수도 없다. 리그 30실점으로 선제골을 지키지 못하고 무너지는 경기가 많았다. 시민구단이라 재정사정이 좋지 않아 선수층도 두껍지 않다.

허 감독은 팀 공격의 폭발력을 높이기 위해 유병수 이외의 공격재능을 갖춘 선수를 키워내야 한다. 수비의 중심에서 동료들을 이끌고 갈 리더를 선별·육성해야 하고, 수비조직력과 집중력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받았다. K-리그로 돌아온 허 감독의 ‘유쾌한 도전’은 새달 4일 부산과의 홈경기부터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0-08-23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