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사이언스] 왜 유독 그 사건만 또렷이 기억날까

[달콤한 사이언스] 왜 유독 그 사건만 또렷이 기억날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02-15 22:54
업데이트 2016-02-16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억 관장하는 뇌의 ‘해마’ 우선순위 정해 장기간 저장

기억력이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 아니더라도 특정 사건이나 장소, 물건에 대해서는 생생하게 기억하는 경우가 있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신경과학센터 채런 랜거너스 교수팀은 특정 사건에 대해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는 기억을 관장하는 뇌의 해마가 우선순위를 정해 장기 기억 저장소로 넘기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기억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세부적인 사항까지 쉽게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성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런’ 11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1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320개의 사진을 보도록 했다. 연구팀은 사진을 보여주면서 기억 여부에 따라 2달러 또는 2센트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실험 참여자는 320개의 사진을 본 뒤 1시간 30분의 휴식을 갖고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촬영하면서 32개의 질문을 받았다.

그 결과 실험 참여자 대부분은 2센트를 받을 수 있는 사진보다는 2달러의 보상이 약속된 사진에 대해 더 많이 기억한 것으로 나타났다. fMRI에서도 2달러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진에 대해 기억할 때는 장기기억과 관련된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센트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진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는 단기기억과 관련된 부위나 기억 중추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2-16 1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