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윤석열 등 검찰총장 후보 8명 검증 착수

靑, 윤석열 등 검찰총장 후보 8명 검증 착수

이민영 기자
이민영,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6-03 22:38
업데이트 2019-06-04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달 중순쯤 최종 후보자 3~4명 발표

문무일 총장 후배인 19~23기로 추려
봉욱·조은석·황철규·조희진 등 포함
수사권 조정안 인식 검토에 신중할 듯


청와대가 차기 검찰총장 후보 8명에 대해 인사 검증에 착수했다.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는 이달 중순쯤 최종 후보자 3~4명을 발표하고 법무부 장관에게 추천할 방침이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은 3일 차기 검찰총장 인선과 관련해 “현재 추천 절차에서 천거된 후보 중 검증에 동의한 8인에 대한 검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검찰총장 인선에 대한 언론 보도가 잇따르자 이례적으로 현 단계에 대한 설명에 나선 것이다.

인사 검증 대상자 8인의 구체적인 면면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사법연수원 18기인 문무일(58) 검찰총장보다 후배 기수인 19~23기로 추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19기는 봉욱(54) 대검 차장, 조은석(54) 법무연수원장, 조희진(57) 전 서울동부지검장, 황철규(55) 부산고검장이 꼽혔다. 20기 중에는 김오수(56) 법무부 차관, 김호철(52) 대구고검장, 이금로(54) 수원고검장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23기인 윤석열(59) 서울중앙지검장도 검증 대상에 포함됐다.

청와대가 이례적으로 검찰총장 인선 과정에 대해 입장을 낸 것은 검경 수사권 조정안이 국회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되며 검경 간 논란이 인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정부의 국정 기조에 대해 이해도가 높고 수사권 조정 관련 인식을 공유할 수 있는 검찰총장을 지명해야 하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한 입장이며 언론 보도도 의식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문 총장은 지난해 정부안 발표 직전과 올해 국회 패스트트랙 발표 직후에 기자회견을 열어 수사권 조정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앞서 법무부는 지난달 10일 정상명 전 검찰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10여명을 천거받았다. 이후 이들을 상대로 인사검증 동의서를 받고 재산·병역·납세와 평판 검증에 나섰다. 후보추천위는 이달 중순 회의를 열어 후보자를 3~4명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최종 후보 1명을 결정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임명을 제청하면 대통령의 지명과 인사청문회를 거쳐 공식 취임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문 총장의 임기는 다음달 24일까지다. 문 총장 취임 당시인 2017년에는 후보추천위가 4명을 추천했고 바로 다음날 문 대통령이 후보자를 지명했다. 검찰총장은 인사청문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임명에 국회 동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6-04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