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호텔 33층 비서실 ‘비밀공간’… 비자금 장부 나와

롯데호텔 33층 비서실 ‘비밀공간’… 비자금 장부 나와

김양진 기자
입력 2016-06-13 22:56
업데이트 2016-06-14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자금 수사 속도내는 檢

비자금 조성 입증 결정적 단서… 신동빈 자금관리인에게 확보… “○○○검사 수사” 언급 문서도

지난해 ‘롯데 형제의 난’ 불씨가 아직 남아서일까. 검찰의 롯데그룹 비자금 의혹 수사가 초반부터 뜻밖에 ‘귀인’(貴人)을 만나 순항하고 있다. 신격호(94) 총괄회장 측과 신동빈(61) 회장 측 비서진들의 진술에 따라 총수 일가의 금전출납부 등 비자금 조성 의혹을 입증할 단서가 확보됐기 때문이다.

13일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에 따르면 롯데 총수 일가의 자금 관련 자료는 신 총괄회장 집무실이나 신 회장 자택이 아닌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33층 비서실 내 비밀공간에서 관리해 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자료는 검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예상한 롯데 측의 대비로 은닉되거나 폐기될 운명이었다. 실제로 검찰은 지난 10일 압수수색을 통해 “중앙지검 특수4부 ○○○검사가 비자금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는 등의 구체적인 언급이 담긴 문서를 확보했다.

하지만 우연히도 신 회장과 장남 신동주(62) 전 일본롯데 부회장의 경영권 다툼으로 신 총괄회장 측 비서진들이 해임되는 과정에서 ‘안전한 장소’에 보관될 수 있었다. 당시 해고된 신 총괄회장 측 이모씨가 금전출납부·통장 등과 현금 30억여원을 서울 목동의 자기 처제 집에 숨겨 놓았던 것이 이번 검찰 수사에서 드러난 것이다.

양측 비서진들의 ‘입’을 열게 한 것도 경영권 다툼 탓으로 보인다. 양측이 상대방에게 불리한 진술을 하고, 이는 결국 모두에게 ‘부메랑’이 됐다는 게 검찰 안팎의 분석이다.

양측 비서진들은 검찰 조사에서 총수 일가에 들어간 매년 300억원 규모의 수상한 자금을 “배당금과 급여 성격의 돈”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검찰은 이 중 상당 부분이 비자금일 것으로 보고 자금 성격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롯데그룹 회계자료를 분석 중이다. 해당 자금이 배당금인지 여부는 금방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총수 일가가 비자금 등 수상한 자금을 조성한 정황이 드러난 만큼, 롯데그룹 정책본부의 개입에 대해 확인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이인원(69) 정책본부장 등 총수 일가 가신그룹에 대한 소환이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의 롯데그룹 비리 수사는 ▲그룹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 ▲계열사 간 자산거래 과정에서의 배임 의혹 ▲그룹 및 총수 일가의 불법 부동산 거래 등 세 갈래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롯데쇼핑의 4개 사업본부 가운데 하나인 롯데시네마에서 일감 몰아주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을 포착하고 유원실업과 시네마통상 등 총수 일가가 대주주인 회사와 롯데시네마와의 거래 내역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총수 일가의 회사들은 수년간 1000억원대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당시 거래가 적법했는지, 이 과정에서 법인세, 재산세 등의 탈루 혐의점이 없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제기된 모든 의혹에 총수 일가가 연루돼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서 “해외 거래 등 문제가 지적되는 사안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있다면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6-06-14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