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세퓨 원료 “EU 인증 받은 친환경 살균제라더니…” 진실은?

가습기 살균제 세퓨 원료 “EU 인증 받은 친환경 살균제라더니…” 진실은?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5-12 17:46
업데이트 2016-05-12 1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습기 살균제 세퓨 연합뉴스TV 캡처
가습기 살균제 세퓨
연합뉴스TV 캡처
사망자 14명을 포함해 28명의 피해자를 낸 가습기 살균제 ‘세퓨’가 2가지 독성 화학물질을 임의대로 섞어 조잡하게 제조된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세퓨는 출시 초기 유럽연합(EU)의 인증을 받은 최고급 살균제로 입소문났었다.

12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버터플라이이펙트 전 대표 오모씨는 2009년 세퓨를 처음 제조할 때 덴마크 케톡스사에서 수입된 염화에톡시에틸구아니딘(PGH)을 원료로 사용했다.

해당 PGH는 오씨의 지인이 컴퓨터기기 항균제 용도로 수입신고를 하고 들여온 것이다. 하지만 오씨는 수입물량 가운데 일부를 빼돌려 가습기 살균제 원료로 썼다. PGH가 애초 수입신고와 다른 용도로 사용된 셈이다.

세퓨는 출시 초기 ‘유럽연합(EU) 인증을 받은 최고급 친환경 살균제’로 소개돼 큰 인기를 끌었다. 인터넷상에서 홍보되고 판매됐기 때문에 아이를 가진 30∼40대 주부를 중심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탔다고 한다.

제품이 잘 나가다보니 원료 공급이 빠듯했다. 오스트리아에서 처음 개발된 PGH는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 PGH를 원료로 살균제품을 생산·판매하던 곳도 당시는 덴마크 케톡스사가 거의 유일했다.

PGH 물량 확보가 여의치 않자 오씨는 옥시레킷벤키저(옥시)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의 가습기 살균제 원료 물질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으로 눈을 돌렸다. 그는 PHMG를 서울시내 한 화학물질 도매상에서 구입했다. PHMG 역시 산업용 항균제 용도로 판매된 것이다.

그는 2010년부터 PGH와 PHMG를 함께 물에 희석해 제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안전성 검사는 물론 배합 매뉴얼도 없이 2가지 독성 화학물질이 동시에 사용된 것이다.

정부는 애초 2011년 폐손상 사망 의혹으로 역학조사를 진행할 당시 세퓨의 원료를 PGH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출시 초기 제품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PGH와 PHMG가 섞여 판매된 사실은 파악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PGH와 PHMG는 성분이 유사하지만 화학구조가 엄연히 다른 물질이다.

PGH가 PHMG에 비해 흡입 독성이 4배가량 강한 것으로만 알려졌을 뿐 2가지 물질이 섞였을 때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연구된 바 없다. 독성 강도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는데 실험을 통해 확인된 것은 아니다.

오씨는 인터넷 등에 돌아다니는 정보를 토대로 제품을 만들어 판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다.

검찰은 전날 업무상 과실치사 및 과실치상 등 혐의로 오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구속 여부는 13일 밤늦게 결정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