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고열·심장 손상·낮은 산소포화도 ‘코로나 중증 4적’

당뇨·고열·심장 손상·낮은 산소포화도 ‘코로나 중증 4적’

박찬구 기자
입력 2020-06-10 22:08
업데이트 2020-06-11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남대병원 연구팀, 환자 110명 분석

세 가지 이상 동반 땐 100% 중증 진행
“위험군 관리가 사망자 줄이는 방법”
기저질환으로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입원 시 37.8도 이상의 고열, 낮은 산소포화도, 심장 손상 등 네 가지 요인을 갖고 있다면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이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 가지 이상을 동반한 환자는 100% 중증으로 진행됐다.

대구 영남대병원 권역 호흡기질환센터 안준홍 교수 연구팀은 지난 2~4월 이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110명의 사례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대한의학회지에 발표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진행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확인한 건 처음이다. 연구팀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보이거나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사망한 경우 등을 중증환자로 분류했다. 조사 대상 110명 중 이 같은 환자는 23명이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를 중증으로 몰아가는 위험요인은 모두 네 가지였다. 당뇨병 보유, 체온 37.8도 이상, 산소포화도 92% 미만, 심장 손상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CK-MB’ 수치가 6.3보다 높은 경우 등이다. 당뇨병 환자는 48.3%가 중증으로 진행되지만 당뇨가 없는 환자는 11.1%만 중증으로 악화했다. 체온이 37.8도 이상인 환자는 41.0%가 중증으로 발전했지만 37.8도 미만일 때 중증으로 진행된 비율은 9.9%에 그쳤다. 산소포화도가 기준치(92%) 미만인 환자에서는 58.6%가 중증으로 악화했다. 심장 손상을 나타내는 ‘CK-MB’ 수치가 기준치(6.3)보다 높은 환자 중 85.7%가 중증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네 가지 요인 중 세 가지 이상을 동반한 환자는 100%, 두 가지 증상이 있으면 60% 정도가 중증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안 교수는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를 평가하고 적절한 의료적 처치를 하는 게 사망률을 낮추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20-06-11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