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국방어학원인근 ‘환영‘ 현수막

이천 국방어학원인근 ‘환영‘ 현수막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20-02-11 16:02
업데이트 2020-02-11 2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현장상황실 설치,방역 작업...진영 행안부장관 ,주민 지원 약속

이미지 확대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3차 전세기를 통해 귀국하는 교민 등이 생활할 이천시 장호원읍 국방어학원 앞 길가에 11일 오후 “우한 교민 여러분, 환영합니다”라고 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천시 제공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3차 전세기를 통해 귀국하는 교민 등이 생활할 이천시 장호원읍 국방어학원 앞 길가에 11일 오후 “우한 교민 여러분, 환영합니다”라고 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천시 제공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3차 전세기를 통해 귀국하는 교민 170여명이 12일부터 격리 생활을 하게 될 합동군사대학교 국방어학원에서 100여m 떨어진 삼거리에 ‘편히 쉬시다가 돌아가라’는 환영 현수막이 내걸려 눈길을 끌었다.

장호원·감곡기독교연합회는 ‘편히 쉬시다가 건강하게 돌아가시기 바랍니다’라는 환영 문구를 넣었고,모 음식점 임직원 일동은 ‘우한 교민 여러분,환영합니다!’고 현수막을 게시했다. 또 ‘장호원 주민분들께 감사드립니다.힘을 모아 이 어려움을 함께 이겨냅시다’는 내용의 현수막도 내걸렸다.

이천시는 11일 현장상황실을 설치하고 방역 활동과 주민지원에 나섰다.

시는 이날 오후 국방어학원 정문 건너편에 컨테이너 5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현장상황실’을 설치했다.

5개 가운데 1개는 ‘현장 시장실’로 엄태준 시장이 지난 10일 교민들이 머무르는 동안 현장상황실에서 근무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현장상황실에서는 국방어학원 내부 상황을 지역주민에게 전달하고 방역과 주민지원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시는 또 국방어학원 진출입로에 차량소독설비를 설치하고 출입자 무균소독실 2곳도 마련했다.

이날부터 다목적방역방제차량을 동원해 국방어학원을 중심으로 소독작업을 시작했다. 시는 국방어학원 인근의 이황1리 등 10개 리 주민들에게 손세정제 2056개,소아용 마스크 1757개,성인용 마스크 8428개를 나눠줬다.

질병관리본부와 경기도의 협조를 받아 손세정제 9000개와 마스크 3만개를 추가로 지급할 예정이다.

3차 전세기로 12일 오전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교민과 가족 170여명은 국방어학원에서 14일간(입소일과 퇴소일 제외) 머무르게 된다.

한편,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이천시 장호원읍행정복지센터에서 ‘우한 교민 3차 귀국자 격리수용’과 관련한 지역주민 간담회를 열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오후 3시 50분부터 1시간여 이어진 간담회는 차분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으며 주민들은 장호원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중점적으로 요구했다.

국방어학원 인근의 휴게소 운영자와 주변 재래시장 상인 등은 “우한 교민에 대한 고통 분담과 함께 지역 상인에 대해 고통 분담 부분도 헤아려 달라. 1, 2차 귀국자들이 수용됐던 아산, 진천은 재래시장 자체가 소멸단계”라며 대책이 시급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이에 진 장관은 “지역경기가 위축되지 않도록 세제 지원책부터 금융지원책까지 여러 지원책을 협의하고 있다. 정부는 정부대로 대책을 세우고 경기도, 이천시와 위기를 빨리 극복하겠다”고 답했다.

전덕환 이장단협의회장은 “장호원은 낙후돼 살기가 힘들다. 문을 닫는 상인들이 늘고 있다”며 차후 지원책에 대해 질의했다.

김희겸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장호원 분들이 교민을 따뜻하게 맞은 만큼 이번 사태가 종결되면 주민들이 희생한 것에 대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는 결정이 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엄태준 이천시장은 “장호원 주민들의 순수한 뜻이 희석될까 봐 이 자리에서는 말씀을 못 하겠지만 이재명 지사와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엄 시장은 또 “이천이라는 지역 자체가 수도권에 속해있어서 규제가 심하고 그중에서 가장 심한 게 장호원이라는 것을 진 장관에게 전했고 힘을 실어달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