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부족에 성인 33% 비만…여성. 5명 중 1명이 매달 폭음

운동 부족에 성인 33% 비만…여성. 5명 중 1명이 매달 폭음

이슬기 기자
입력 2016-11-07 08:50
업데이트 2016-11-07 08: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만의 역설
비만의 역설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 상태이며, 여성들의 폭음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세 이상 4명 중 1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고 5명 중 1명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걷는 시간이 많이 줄어들며 운동량이 부족한 가운데 기름지고 달고 짠 음식은 많이 섭취해 건강상태가 악화하고 있는 것이다.

질병관리본부는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3천840가구(1만명)의 건강검진 결과와 면접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했다.

◇ 남성 비만 10년 전보다 크게 증가…지방·음료 섭취 증가

지난해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3.2%였다. 남자는 39.7%, 여자는 26.0%가 비만을 질병으로 가지고 있었다. 여성은 10년 전인 2005년과 비교할 때 유병률이 1.3%포인트 줄었지만, 남성은 5.0%포인트 증가했다.

비만한 사람 가운데 최근 1년간 본인의 의지로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한 사람은 61.1%였다.

비만율이 높아지는 것은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지방과 음료(커피, 탄산음료 등) 섭취가 증가하는 추세와도 관련이 있다.

걷기(최근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를 실천한 사람의 비율인 ‘걷기실천율’(만 19세 이상 대상)은 41.2%로 10년 전 60.7%로 3분의 2 수준에 그쳤다.

‘유산소 신체 활동 실천율’(1주일에 중강도 신체 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혹은 고강도 신체 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은 52.7%로 전년 58.3%보다 많이 줄었다.

만 1세 이상의 지방 섭취율(총 에너지 섭취량 중 지방에서 취하는 에너지 비율)은 2007년 18.4% 이후 지속해서 증가해 지난해 21.8%를 기록했다. 1일 1인당 지방 섭취량은 2005년 45.2g에서 작년 51.1g으로 늘었다.

음료류 1일 섭취량은 10년 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192.3g이었다. 특히 19∼29세는 하루 324.4g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 9세 이상에서 나트륨 섭취 비율(목표섭취량 2,000mg 대비 섭취 비율)은 200.1%나 됐다.

또 우리 국민은 소득이 높은 대도시보다 산간, 섬지역 주민의 비만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우리나라에서 비만율이 가장 행정구역은 인천 옹진군(47.2%), 강원도 인제군(46.21%), 양구군(46.14%), 철원군(46.1%)이었고, 낮은 지역은 서울 서초구(32.1%), 강남구(32.19%), 성남 분당구(32.22%), 경기 과천시(32.74%)였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10년새 2배로…남자 5명 중 1명 ‘고위험 음주’

30세 이상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8시간 이상 공복했을 때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거나 콜레스테롤 강하제를 복용하는 경우)은 2005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17.9%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인지율은 해가 갈수록 증가해 작년 57.5%로 집계됐고, 인지율 증가에 따라 치료율도 45.5%로 높아졌다.

10명 중에 3명(27.9%)은 고혈압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 32.7%, 여성 23.1%가 고혈압이었다.

당뇨병은 10명 중 1명(9.5%) 수준으로 2007년 이후 큰 변동이 없었다.

건강에 영향을 주는 음주 습관은 큰 변화가 없었다. 월간음주율(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은 60.6%로 전년과 거의 같았다.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음주량 7잔<여성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은 13.3%(남성 20.8%, 여성 5.8%), 월간폭음률(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7잔<여성 5잔>이상 음주)은 38.7%(남자 54.1%, 여자 23.2%)로 각각 집계됐다.

여성의 월간폭음률은 10년 전 17.2%에서 6.0%포인트나 증가해 역대 최대 수준을 보였다. 여성 월간폭음률은 2010년 22.1%, 2011년 22.1%, 2012년 22.9%, 2013년 21.9%, 2014년 22.5%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