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방은 ‘고위험 시설’ 해제됐는데 노래방은 왜 안 되나

PC방은 ‘고위험 시설’ 해제됐는데 노래방은 왜 안 되나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9-14 22:24
업데이트 2020-09-15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역당국 “PC방은 원래 중위험 시설
지난달 학생 집단감염으로 일시 지정”

노래방은 방역수칙 지켜도 고위험 시설
비말 가득 차 확진자 나가고 3분 뒤 감염

이미지 확대
대전은 영업 재개
대전은 영업 재개 14일 오후 대전 대덕구 송촌동 한 노래방에서 업주가 입장 인원을 제한하는 내용의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합금지 조치로 문을 닫았던 대전 지역 노래방과 유흥주점 등은 이날부터 영업을 재개했다.
대전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14일부터 PC방을 고위험시설에서 해제하면서 ‘왜 PC방은 되고 노래방은 안 되느냐’는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2단계로 조정하며 방역수칙을 지키는 조건으로 PC방 영업을 허용했다. 반면 노래연습장은 여전히 고위험시설로 남아 영업을 재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PC방만 영업을 허용한 데 대해 “PC방은 애초 중위험시설이었다가 지난달 학생들의 집단감염이 발생해 고위험시설로 일시 지정했던 것”이라며 “상당수 학교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고, 확진자도 전반적으로 감소해 일시 지정에서 풀어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신 방역당국은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 출입과 PC방 내 음식물 섭취를 금지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좌석도 띄어 앉게 했다. 비말을 많이 튀기지 않고 조용히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하는 PC방의 특성상 이 정도 방역수칙으로도 감염 확산을 어느 정도는 통제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노래연습장 업주들은 칸막이도 없는 음식점, 술집, 카페 등에서 확진자가 더 많이 나오는 상황에서 정부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항변한다.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린 한 청원인은 “지난 3월 코인노래방발 첫 확진자 발생 이후 현재까지 코인노래방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불과 10여명”이라며 “언제 해제명령이 떨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노래연습장 업주들은 밀려 가는 월세와 관리 유지비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방역당국의 시각은 다르다. 지난 5월 서울 도봉구의 한 코인노래연습장에서는 확진자와 같은 시간 다른 방에서 노래를 부른 사람들이 감염된 사례가 나왔고, 관악구 코인노래연습장에서는 확진자가 이용하고 나간 지 3분 뒤 같은 방에서 노래한 사람이 전염됐다. 당시 방역당국은 환기시켰을 때 좁은 방에 가득 찬 비말이 공용 공간인 복도로 퍼져 주변을 감염시켰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방역수칙을 지키더라도 야외로 환기하는 게 어렵고 밀폐·밀접한 노래방의 공간적 특성상 감염 위험이 여전히 크다는 것이다. 윤 반장은 “PC방 이외 전통적인 (11개) 고위험시설은 계속 (지정을) 유지할 것”이라며 당분간 재평가 계획은 없음을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9-15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