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 과민성 방광 유발

전립선비대증, 과민성 방광 유발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11-07 14:16
업데이트 2016-11-07 14: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이가 많거나 전립선의 크기가 큰 남성 환자일수록 방광의 2차 변성을 유발해 과민성 방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비뇨기과학재단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배뇨증상으로 진료받은 환자 7839명 중 배뇨일지·전립선 초음파·요역동학검사를 수행한 606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남성의 적’으로 불리는 전립선비대증은 남성의 신체적 노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50대 남성에서 50%, 80대 남성에서 80% 이상의 유병률을 보인다.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해 전립선 크기가 커지면 방광을 압박해 과민성 방광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비뇨기과학재단에 따르면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연령이 증가하면 방광의 2차 변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배뇨근 과활동성’ 비율이 함께 증가했다. 배뇨근 과활동성이란 절박뇨, 빈뇨, 야간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과민성 방광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연령과 상관이 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방광의 2차 변성 보유율은 70대 남성(40%)이 60대(25%)보다 약 1.5배 높았다. 단, 50대 남성부터 70대 남성에 이르기까지 연령에 따른 방광의 2차 변성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으나 80세 이상부터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또 전립선 크기가 커질수록 방광의 2차 변성 비율이 증가했다. 대한전립선학회 치료지침에는 65세 이하의 전립선 평균 크기는 호두 크기(22.5g)만 하다고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결과에서 전립선 크기 30g 이상인 남성 환자 35%에서 방광의 2차 변성이 관찰됐다.

천준 비뇨기과학재단 이사장은 “나이가 들어 전립선 크기가 커지면 방광의 2차 변성 발병률이 높아지므로 70세가 되기 이전에 주기적으로 전립선비대증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