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통해 전염되는 사마귀 보습제 잘 바르면 예방된다

상처 통해 전염되는 사마귀 보습제 잘 바르면 예방된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11-06 17:34
업데이트 2016-11-06 1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신택 가톨릭대 피부과 교수

피부질환인 ‘사마귀’와 관련된 속설을 곧이곧대로 믿는 이들이 많다. ‘사마귀에 물리면 피부에 사마귀가 생긴다’라는 황당한 내용부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는 얘기까지 잘못된 정보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6일 오신택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피부과 교수에게 사마귀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들었다.

이미지 확대
오신택 가톨릭대 피부과 교수
오신택 가톨릭대 피부과 교수
Q. 사마귀의 감염 원인은 무엇인가.

A. 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몸속에 침투해 피부나 점막을 증식시켜 조그맣게 솟아오르는 피부질환이다. 사마귀가 있는 사람과 직접 접촉하거나 바이러스가 몸에서 떨어져 나와 달라붙으면 감염된다. 목욕탕이나 수영장의 샤워실에 있는 공용 슬리퍼를 통해 감염될 수도 있고, 성기에 생기는 ‘사마귀 곤지름’은 성접촉을 통해 퍼진다.

Q. 티눈과의 차이점은.

A. 티눈은 반복적인 마찰이나 압박으로 각질층이 굳어지면서 뾰족하게 뭉쳐 피부를 누르는 질환이다. 모양이 비슷해서 같은 질환으로 오해하지만 엄연히 다른 질환이다.

Q.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A. 사실 사마귀 바이러스에 노출된다고 해서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는 각질로 이뤄진 보호막이 있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할 수 없다. 또 피부 보호막을 어렵게 뚫고 들어왔다고 해도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잘 발달돼 있으면 바이러스 대부분이 죽게 된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피부를 자주 긁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사마귀의 일종으로 어린이에게 많이 생기는 ‘물사마귀’는 몰로스컴바이러스(MCV) 전염으로 확산된다. 긁는 부위에 따라 길게 선처럼 병변이 퍼져 있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다.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물어뜯을 때도 감염되기 쉽다.

Q. 예방법은.

A. 사마귀는 피부에 침투한 뒤 약 2~3개월 뒤에 눈에 띌 만한 크기로 커진다. 따라서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바이러스를 퍼트릴 수 있다. 바이러스를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부건강을 잘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손가락을 빨지 않는 것은 물론 발바닥에 땀이 나면 자주 씻고 손발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거나 아토피 피부염이 있으면 긁어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보습제를 열심히 바르는 게 가장 좋다. 사마귀는 정상 피부 손상 없이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냉동치료, 레이저치료 등의 과정에 극심한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모든 사람에게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효과를 보일 때가 있어 냉동치료처럼 통증이 수반되는 치료를 받기 전에 한번쯤 시도해 볼 만하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11-07 2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