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잡는 건강] 고지혈증약 부작용 한약재로 피해요

[한방으로 잡는 건강] 고지혈증약 부작용 한약재로 피해요

입력 2016-08-28 17:06
업데이트 2016-08-28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혈액에 콜레스테롤이 과다하면 고지혈증이 생겨 심장질환 등이 생길 수 있다. 고지혈증은 식이조절과 운동, 약물요법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면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약이 잘 듣지 않는 일도 있다.

그래서 중국 등 한의학이 발달한 나라에선 새로운 고지혈증 치료제를 개발해 환자들에게 처방하고 있다. 한약재 ‘홍국’을 이용해 만든 ‘혈지강’, 단삼으로 만든 복방단삼제제(심적환) 등이 대표적이다. 복방단삼제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협심증과 당뇨병성 망막병증 치료 약물로 임상연구 승인을 받았다.

고지혈증 치료에 대한 한약의 효과성은 다양한 논문과 연구로 입증됐다. 일본의 ‘대시호탕’을 12주간 썼더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감소하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지혈증에 ‘청혈단’이란 한약을 처방한다. 고지혈증 환자에게 청혈단을 8주 처방하자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등의 혈중 지질이 감소했고 이상 반응과 부작용이 없었다는 보고가 있다.

‘산사’ 등 단일 한약재도 고지혈증에 사용한다. 산사는 소화불량, 순환개선, 울혈제거, 심장 통증 완화 효과가 있다. 이 한약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약물로 사용해 왔는데, 흥미롭게도 1950년대 유럽에서 주목받았다. 산사 추출물이 관상동맥 혈류량을 개선하고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중국에서 사용 승인한 고지혈증 처방약 57개의 절반 정도에 산사가 들었다.

■도움말 공병희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2016-08-2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