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갑자기 귀 먹먹한 것도 ‘난청’…손상되면 완전 회복은 힘들어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갑자기 귀 먹먹한 것도 ‘난청’…손상되면 완전 회복은 힘들어

입력 2016-08-28 17:06
업데이트 2016-08-28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난청의 증상은 단지 귀가 안 들리는 것만은 아니다. 소리가 날 때 어지럽거나 귀가 먹먹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증상 때 병원에선 ‘순음 청력검사’를 한다. 특정 주파수와 특정 강도로 ‘삐~’ 소리를 환자에게 단계적으로 듣게 해 최고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주파수별로 측정해 평균을 내면 환자의 청력이 ‘몇 ㏈ HL’(decibel Hearing Level)에 해당하는지 나온다. 숫자가 작을수록 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의미이니 청력이 좋은 것이다. 보통 난청은 이 수치가 30dB H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순음 청력검사상 평균 30dB HL 이상이 아니라도 저주파나 고주파 일부를 못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수의 난청은 귀가 먹먹하다고 하고, 고주파수의 난청은 귀에서 소리가 난다고 한다. 문제는 이런 증상이 급성으로 나타날 때다. 이런 환자들은 ‘그저께까지 잘 들렸는데 어제부터 갑자기 안 들렸다’거나 ‘어제부터 갑자기 귀가 먹먹하다’고 호소한다.

돌발성 난청 치료에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제를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현재로선 근본적 치료법이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사용으로 절반 이상은 청력을 회복하지만, 난청이 오기 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하는 사람은 3분의1 정도다. 치료를 받아도 청력이 예전만 못하니 환자들은 증명되지 않은 치료법을 찾고 쉽게 현혹된다. 한번 손상된 청력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완전히 회복하기 어렵다. 따라서 평소 예방이 중요하다.

예방법은 특별한 게 아니다. 되도록이면 소음이 심한 곳에 가지 않고, 이어폰 사용을 삼간다. 어지럼, 청력 감소, 귀울림,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메니에르병이 의심되면 저염식을 해야 한다. 김치나 라면처럼 소금기가 많은 음식을 피한다. 누구나 한번쯤 ‘잘 안 들린다’고 느낀다. 청력 검사도 시력 검사처럼 어려운 게 아니니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청력 검사를 받고 미리 관리하는 게 좋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안중호 교수
2016-08-2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