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위험 예측 혈액검사법 개발

치매 위험 예측 혈액검사법 개발

입력 2014-11-19 00:00
업데이트 2014-11-19 09: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임상적 진단 최장 10년 전에 예측할 수 있는 혈액검사법이 개발됐다.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의 신경과학자 디미트리오스 카포지아니스 박사는 특정 인슐린수용체 단백질 IRS-1(insulin receptor substrate-1)의 혈중 수치 측정으로 치매 위험을 증상이 나타나기 오래전에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시사주간 타임 인터넷판과 블룸버그 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치매 환자 70명, 인지기능이 정상인 당뇨병 환자 20명, 건강한 성인 84명의 혈액샘플을 분석, 비교한 결과 치매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비활동성 IRS-1 수치가 높은 반면 활동성 IRS-1 수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카포지아니스 박사는 밝혔다.

당뇨병 환자는 이 단백질 수치가 치매 환자와 정상인의 중간치를 나타냈다.

치매 환자 중 22명은 치매 진단 1~10년 전에 채취한 혈액샘플이 있었는데 채취한 시기와 상관없이 모든 샘플에서 100% 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임상적 진단 최장 10년 전에도 치매 예측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카포지아니스 박사는 지적했다.

이 결과는 또한 치매 환자에게 있어서 신경세포 손상을 촉진하는 가장 큰 중추신경계 대사장애가 인슐린 저항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을 지휘한 에드 괴츨 박사는 설명했다.

인슐린 저항은 2형당뇨병의 잘 알려진 증상으로 기존의 약으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치매 예방을 위한 복합치료제의 일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캘리포니아 소재 생명과학기업인 나노소미엑스(NanoSomiX)는 이 혈액검사법을 상용화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금년에는 이 외에 치매 예측을 위한 2가지 다른 혈액검사법이 개발됐다.

하나는 혈액 속의 10가지 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임상적 진단 3년 안에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며 정확도는 90%로 알려졌다.

또 하나는 혈액 속의 특정 단백질 10가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1년 안에 예측이 가능하며 정확도는 87%이다.

이 연구결과는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신경과학학회 학술회의에서 발표되는 동시에 미국실험생물학회연합회 저널(Journal fo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