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아들이 아버지에게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아들이 아버지에게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등학교를 다닐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 그래서 아버지가 안고 살았던 고충을 당신의 말로 들은 기억이 거의 없습니다. 학교를 다닌다고 중학교 때부터 집을 떠나 생활한 데다 당신께서 시시콜콜 늘어놓기를 싫어하신 탓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도 하지만 아버지가 솜털 보송보송한 아들놈에게 자분자분 속내를 털어놓고 뭔가를 말한다는 게 그 시절의 분위기와 안 어울리는 것도 사실이지요.

그렇다고 아버지가 고민이 없는 세상을 사신 것은 아닙니다. 살아남기가 여간 팍팍한 세상이 아니어서 하루하루 입에서 단내가 나도록 몸을 움직여야 했으니 주름 골골이 감춰 둔 말이 오죽이나 많았을까만, 저는 안타깝게도 아버지의 흉중을 헤아리지 못합니다. 아무런 말도 들은 적이 없는 탓입니다. 나이가 들면 성적 능력이 퇴화한다는 것은 섭리입니다. 슬하에 많은 자식을 두셨지만 아버진들 그런 몸의 변화를 못 느끼시지는 않았겠지요. 하지만 아주 고답적이고, 가부장적이었던 아버지가 자식들에게 “내가 요새 좀 그렇다”고 말해 마치 하늘이라도 뚫고 솟아오를 법한 권위에 손상을 입힐 일을 한다는 건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아들이 아버지의 고충 곁으로 먼저 다가서야지요. 어차피 부자로 태어났지만 남성으로서의 고민까지 다를 이유는 없으니까요. 그러니 하는 말입니다. 딸은 몰라도 아들이라면 결코 못할 일이 아닙니다. 어쩌면 그런 배려가 아버지의 가려운 곳을 긁어 주는 일일 수도 있지요.

아쉽지만 그래 보고도 싶지만 저는 이미 그럴 기회를 잃고 말았습니다. 그러니 험한 세상을 헤쳐 오느라 성 기능 문제 같은 건 아예 생각도 못 하고 살아오신 아버지와 툇마루에 나란히 걸터앉아 이렇게 말을 건네보는 건 어떨까요. 먼저 “아버지, 요샌 일흔도 청춘이라는데 기죽지 마세요” 정도로 말문을 여는 게 좋겠지요. 그런 다음 태연자약하게 “내일 저와 병원에 한 번 가 보시지요. 엄마에겐 잠시 들를 데가 있다고 하면 될 거예요. 저랑 병원에 들렀다가 맛있는 점심이나 하고 돌아오시면 되잖아요” 이렇게라도 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것 같아 권하는 말입니다.

jeshim@seoul.co.kr



2013-07-29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