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전립선암 억제하려면

[굿모닝 닥터] 전립선암 억제하려면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민국, IT 강국답게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 소통이 정말 빠르다. 당연히 피드백도 많다. 얼마 전 병원 비뇨기과로 문의전화가 폭주한 일이 있었다.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때문이었다. 미국 FDA의 ‘이 약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전립선암 발병률이 증가한다.’는 발표가 문제였다. 국내에서도 많은 남성들이 전립선비대증 약을 복용하고 있다. 당연히 놀랐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을 알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필자의 칼럼을 읽어온 독자라면 다 알겠지만 엄밀하게 말해 전립선비대증은 병이라기보다 남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전립선이 커져 배뇨에 영향을 주는 노화 현상이다. 통계상 60세 이상 인구의 50% 이상이 전립선비대증을 가졌고, 이 중 상당수가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약물은 크게 교감신경 차단제와 남성호르몬 활성효소 억제제로 구분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두 약제를 병합하거나 하나만 사용하기도 한다. 문제가 된 약은 남성호르몬 활성효소 억제제다.

물론 FDA의 발표는 비뇨기과 전문의라면 벌써 알고 있는 사실이다. 미국에서 7년간 이 약제에 대해 대규모 임상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이 약제를 7년간 복용하도록 했더니 전립선암 발병률이 약 25%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약을 복용하는 전립선비대증 환자는 덤으로 전립선암까지 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 다른 결과는 전립선암 발병률은 줄이지만 암이 발생한 경우 약을 먹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악성도가 높을 확률이 20명에 1명꼴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실제적으로 전립선암은 나이에 따라 발생 빈도가 높아지므로 매년 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런 점을 알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온 환자라면 따로 걱정할 일이 없다. 고령화를 피할 수 없다면 자신의 질환과 친근하게(?) 지내는 연습도 필요하다. 그러려면 당연히 주치의와도 친해져야 한다. 오늘 저녁 자신의 주치의와 소주라도 한잔 나누는 건 어떨까.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07-11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