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감자떡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감자떡

입력 2010-08-02 00:00
업데이트 2010-08-02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도 강원도 어름을 여행할 때면 노점 좌판에서 감자떡을 사먹곤 합니다. 쌀떡 못지않게 근기도 있고, 팥을 삶아 넣은 소가 파근하게 씹히는 게 맛도 그만입니다.

그렇게 소박한 음식이 또 있을까 싶은 강원도 감자떡을 먹을 때면 만드는 솜씨가 어쭙잖아 번듯하게 상품화도 되지 못한 ‘저의 감자떡’이 생각납니다. 그걸 저의 감자떡이라고 했지만 제가 원조는 아닙니다. 소싯적, 육칠월 감자 수확철이면 지천에 감자가 널려 삶은 감자로 끼니를 때워야 했고, 다른 먹거리가 마땅찮으니 그걸 구워도 먹고, 조려도 먹다가 궁리 끝에 만들어 먹었던 게 바로 그 감자떡입니다.

감자떡은 저도 곧잘 만들었습니다. 껍질 벗긴 삶은 감자를 절구에 넣고 찧으면 차진 떡이 되는데, 이걸 입에 넣기 좋게 한 줌씩 떼어 조물조물 다진 뒤 잘 빻은 콩고물을 듬뿍 발라 놓으면, 만든다고 콧잔등에 땀 밸 일도 없는 감자떡이 됩니다.

주전부리할 것이 따로 없었던 터라 그 감자떡이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걸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너댓개 먹다 보면 어느 새 뱃골이 든든해 한나절은 거뜬하게 나고도 남습니다. 강원도 감자떡이야 팥을 삶는 품을 따로 들여야 하지만 이건 있는 것으로 얼렁뚱땅 만들어 먹을 수 있고, 떡진 감자 맛에 고소한 콩가루까지 고물로 묻혀 감칠맛이 여간 아닙니다.

머리 커 서울사람 된 뒤에는 그 감자떡 맛도 못 봤지만, 제 기억 속에 있으니 언젠가는 제 손으로 빚어 식솔들 먹여볼 참입니다. 먹고사는 일 걱정없어 웰빙 웰빙 하지만 제 손으로 가꿔 제 손으로 만들어 먹는 것보다 더 좋은 웰빙이 어딨겠습니까. 그럴 수만 있다면 말입니다.

jeshim@seoul.co.kr
2010-08-02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