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 사상 최대 적조·녹조 피해 현장 가보니] “하루 새 1년 농사 망쳤다”

[남부지방 사상 최대 적조·녹조 피해 현장 가보니] “하루 새 1년 농사 망쳤다”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적조띠 해류 따라 경북 울진까지 북상…출하 앞둔 강도다리 6만 마리 떼죽음

“막막하지예. 한순간에 1년 농사를 망쳤는데예.”

14일 경북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 양식장에서 인부들이 폐사한 강도다리를 차량에 싣고 있다.
14일 경북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 양식장에서 인부들이 폐사한 강도다리를 차량에 싣고 있다.


14일 오후 2시 경북의 최북단인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에서 만난 주민 김장수(59)씨는 30도를 넘는 무더위 속 양식장을 가리키며 한숨만 내쉬었다. 양식장 입구에서부터 역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허연 배를 드러낸 채 떼죽음한 강도다리가 양식장 한쪽에 수북이 쌓여 푹푹 썩고 있었다. 지난 12일 밤부터 이날 새벽까지 폐사한 것만 6만 마리를 웃돈다.

일손 부족으로 처리도 버겁다며 양식장 인부들은 쓴웃음을 지었다. 15~30㎡인 수조 58개의 바닥엔 어른 손바닥만 한 강도다리들이 가라앉아 있었다. 바닷물을 끌어들이는 육상수조식 양식장에 유해성 적조가 유입돼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다. 1년 넘도록 고생해 25~28㎝ 성어로 키웠다. 그런데 출하를 코앞에 두고 그르친 것이다. 양식장 관계자는 “하룻밤 사이에 다 자란 강도다리 35만 마리 중 20% 정도가 죽어 나갔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적조주의보가 발령된 동해안엔 수온 상승으로 유해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30일 적조경보가 발령됐다. 포항 해안선에 밀려든 적조 띠는 해류를 따라 북상하면서 지난 7일 영덕을 거쳐 급기야 울진까지 덮쳤다.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폐사한 어류는 120만 마리 이상이다. 피해액도 40억원에 이른다.

현장을 돌아보던 조태석(52) 울진군 자원조성팀장은 “이곳 양식장 피해액은 적어도 3억원 정도로 보고 있다”며 “하지만 보상 관련 법이 피해 복구비를 최대 5000만원으로 제한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인근 양식업자는 “적조 피해와 관련한 특별법이라도 만들어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시간 전남 나주 죽산보 인근 영산강 하류는 페인트를 뿌린 것처럼 연두색 띠를 두르고 있었다. 100m 거리에서도 악취가 났다. 지난달 25일 죽산보에서 처음 목격된 녹조는 15㎞ 떨어진 승촌보까지 치고 올라갔다. 중류인 회진교 교각 밑에서는 짙은 녹조와 함께 어른 손바닥 크기의 붕어 등 민물고기 40여 마리가 죽은 채 떠올랐다. 연일 35도를 웃도는 폭염으로 수온이 올라가면서 녹조 띠는 길이 300여m, 너비 50여m까지 커졌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하천 순찰과 수질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하수처리장과 축사 등 고농도 오염원에 대한 특별단속도 벌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울진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나주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3-08-15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