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도 유교는 보편적 가치로 통용”

“21세기에도 유교는 보편적 가치로 통용”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11-17 23:00
업데이트 2016-11-17 2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웨이밍 교수 숭실대서 특강

하버드대 종신직… 유학 권위자

이미지 확대
두웨이밍 하버드대 중국학 종신교수
두웨이밍 하버드대 중국학 종신교수
“21세기에도 유교는 여전히 보편적 가치가 될 수 있습니다. 공자의 ‘인‘(仁)은 곧 타인에 대한 공감을 의미합니다.”

유학사상의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두웨이밍(76)이 17일 오후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열린 ‘숭실석좌강좌’ 강단에 섰다. 그는 미국 하버드대 중국학 종신교수이자 전통 유학의 현대화를 선도해 온 대표적인 신(新)유가 학자다.

두웨이밍은 이날 ‘인류의 미래를 위한 유학의 지혜’를 주제로 1시간가량 강연했다. 그는 유교의 진정한 물음은 ‘구체적으로 살아 있는 지금 여기의 사람 되기’(the concrete living person here and now)라고 했다. 이는 사회 속의 관계를 통해 타인을 공감하고, 사회에서 바람직하고 필요로 하는 인간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모든 사람이 일상 속에서 맺는 관계 속에서 공감 능력을 학습하면 비로소 인(仁)을 갖춘 인간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은 동물과 달리 인간답게 학습해야 하는 존재”라며 “유학의 격언 중에 ‘인학(仁學)이 곧 인학(人學)’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람 되기를 배우는 학문이라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두웨이밍은 “배움을 통한 ‘사람 되기’를 유학의 출발점으로 삼고 나아가, 인간다움의 특성인 공감 능력을 확장해 세계와 소통해야 한다”며 “유교는 가치를 상실한 것도 아니고 생명력이 사라진 것도 아니며 유학은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에 공감할 수 있는 정신으로 오늘날 여전히 통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매년 한 차례 숭실대가 개최하는 숭실석좌강좌에는 201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를 시작으로, 2013년 게리 하멜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 2014년 마이크 샌델 하버드대 교수, 지난해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가 초청됐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11-1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