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보고 그후] 여성 공학도 육성 8개大 8월 선정

[서울신문 보고 그후] 여성 공학도 육성 8개大 8월 선정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5-24 23:54
업데이트 2016-05-2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월 18일자 1·9면> 교육부, 매년 50억씩 3년간 지원

핀테크 등 소프트웨어 수요 대비

여성 공학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8개 대학을 선정해 2018년까지 3년 동안 매년 50억원씩 모두 150억원을 지원한다. 산업 구조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여성 공학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여학생의 공대 기피 현상이 여전한 데 따른 조치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여성 공학 인재 양성 사업’(WE-UP) 기본 계획을 확정하고 올 8월까지 8개 대학을 선정해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입학 단계에서부터 여대생의 공학 분야 진출을 유도하고 취업까지 돕는다. 여성 맞춤형 전공 트랙이나 교과목을 개설하고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관련 교육을 통해 남성 중심적 공대 문화 개선에도 힘쓰게 된다.

필요할 경우 인문·사회계열 학과와 연합해 융합 과정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공학(프로그래밍)과 경제·경영(금융) 등의 융합 과정으로 온라인자산관리사 과정을 개발하는 식이다.

현재 전체 산업기술 인력 중 여성 비중은 11.6%, 과학기술개발 인력 중에서는 10.7%에 불과하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또 지난해 기준으로 공대에 재학 중인 여학생이 1000명 이상인 학교가 전체 공대의 약 25%인 40개지만 취업률은 2014년 기준 68.7%로, 남학생보다 4.8% 포인트 낮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2024년까지 대학 전공별 인력 수급을 예측해 보니 인문·사회·사범계열은 인력 과잉이 심각했지만 공학 계열은 21만명이 부족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이나 핀테크, 빅데이터 등 소프트웨어 분야 등에서 여성 공학도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5-25 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