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생각없는 일반고 학생 2학년부터 직업교육 받는다

대학 생각없는 일반고 학생 2학년부터 직업교육 받는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2-16 22:40
업데이트 2016-02-17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원 전전하는 1500여명 대상… 서울시교육청 공방학과 등 개설

일반고 2학년생인 지훈(가명)이는 다음달부터 원래 다니던 학교 대신 서울 종로구에 있는 종로산업정보학교에서 수업을 받는다. 학교 성적도 좋지 못한 데다 ‘변변찮은 대학에 가느니 차라리 직업교육을 받는 게 낫다’는 생각에 이 학교를 지원했다. 지훈이는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2년 동안 제빵 기술을 배워 취업할 생각이다.

지훈이와 같은 이른바 ‘대포생’(대학 진학을 포기한 학생)을 위해 서울시교육청이 올해부터 고2 때부터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이원복합 직업위탁 교육과정’을 종로산업정보학교에 신설해 운영한다. 일반고 3학년 학생을 위한 직업교육 과정은 그동안에도 있었지만 2학년부터 시작하는 직업교육 과정이 생긴 것은 처음이다.

시교육청은 종로산업정보학교에 디저트쿠킹학과, DIY공방학과 등 2개 학과를 개설했다. 신설된 교육과정에 따라 3월 새 학기부터 일반고 2학년 학생 60명(학과당 30명씩)이 공부한다. 학생들은 월요일에는 원래 다니던 일반고에 나가 국·영·수 등 교과를 배우고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4일은 매일 7시간씩 기초 직업교육을 받는다. 1년간 교육을 받다가 적성에 맞지 않으면 3학년 때는 소속 학교에 복귀할 수 있다. 졸업장은 원래 다니던 일반고의 졸업장을 받는다.

지금까지 일반고에 다니다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특성화고에 전학하려면 해당 학교에 결원이 생겨야 가능했다. 이 때문에 일반고에 다니는 학생 중 직업교육을 하는 사설 학원에 다니는 학생이 서울에서 한 해 1500여명에 이른다. 시교육청은 이들에 대해 지원금을 주고 있다.

이번 종로산업정보학교 2학년 직업위탁 모집 경쟁률은 평균 2.7대1을 기록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반고 2학년부터 직업교육을 받아 보고 적성에 맞지 않으면 다시 일반고에 돌아올 수 있어 선택의 기회가 확대됐다”며 “성과가 좋으면 다른 직업위탁 학교로 확대하고 고1 때부터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과정도 추가로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2-17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