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확보 후 전문가·중장비 투입
위치 파악된 사망 추정자에 접근
울산 뉴스1
구조 방해 타워 발파… 매몰자 수색 본격화
11일 낮 12시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던 보일러 타워 4·6호기 발파 해체 작업이 진행되며 연기와 먼지가 피어오르고 있다. 발파 후 구조대는 5호기 잔해 속 매몰자 수색에 나섰다.
울산 뉴스1
울산 뉴스1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붕괴된 보일러 타워 5호기의 매몰자 수색 작업이 11일 오후부터 본격적으로 재개됐다. 안전 확보 작업을 마친 뒤, 이날 오후 3시 40분부터 인력과 중장비를 투입해 구조 작업에 착수했다. 현장 지휘부는 수색·구조 전문 인력 70여 명과 민간 해체 전문가, 특수 장비 등을 동원했다.
구조 대상은 모두 4명으로, 이 가운데 2명은 사망이 추정되며 나머지 2명은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실종자다. 사망 추정자 1명은 6호기 방향 입구에서 약 3~4m 떨어진 지점에 매몰된 것으로 파악돼, 구조 당국은 해당 위치에 빔커터 2대를 투입했다. 빔커터는 강철을 절단하는 장비로, 구조대가 잔해를 제거하며 매몰자에게 접근할 때 사용한다.
또 다른 사망 추정자는 4호기 쪽 입구에서 4~5m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구간은 구조물의 하중이 집중돼 있어, 철골을 순차적으로 절단한 뒤 진입할 계획이다. 현장 지휘부는 상부 구조물의 추가 붕괴를 막기 위해 크레인 등으로 잔해를 고정하고, 철골을 해체하며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구조 작업은 구조대원의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24시간 체제로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 2분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해 작업자 7명이 매몰됐다. 이 가운데 3명의 시신을 수습했으며, 나머지 4명은 여전히 매몰 상태로 남아 있다.
2025-11-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