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DMZ관광 재개 괜찮은가? ··· 돼지열병 종식 안됐는데

파주 DMZ관광 재개 괜찮은가? ··· 돼지열병 종식 안됐는데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9-11-03 12:33
업데이트 2019-11-03 2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멧돼지 사체에서 바이러스 잇따라 검출 불구 장단콩 축제도 열어

이미지 확대
지난 해 열린 파주 장단콩축제 행사장 전경.(파주시 제공)
지난 해 열린 파주 장단콩축제 행사장 전경.(파주시 제공)
경기 파주시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이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안보 관광을 재개하고, 비무장지대(DMZ) 입구인 임진각에서 관광객이 몰리는 장단콩축제를 개최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파주시는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달 2일 부터 중단했던 DMZ관광·시티투어·임진강 생태탐방 등의 안보 관광을 재개하기 위해 최근 관할 군부대에 협조공문을 보냈다고 3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DMZ 관광 중단이 장기화되고 개성인삼축제, 파주북소리축제 등을 연이어 취소하면서 지난해 대비 10월 한 달간 100만명 이상 관광객이 감소해 음식점 등 주민들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어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지역 출입절차를 담당하는 군부대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관할 군부대는 국방부 협의를 거쳐 조만간 관광 재개 여부를 시에 통보할 예정이다.

앞서 파주시는 무기 연기했던 제23회 파주 장단콩 축제를 오는 22~24일 임진각 일대에서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축제에는 연평균 16만명이 찾는다. 오두산통일전망대는 5일 다시 문을 연다.

이를두고 지난 1일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는 등 ‘돼지열병 발생이 종식되지 않았다’며 ‘문제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민통선 이남에서 확산세가 꺾인 것은 파주 연천 강화 등 접경지역 내 돼지를 모두 살처분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더 이상 감염될 돼지가 없기 때문”이라며 “돼지열병 확산이 종식될 때 까지 접경지역에서 대규모 인력 동원 행사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밝혔다.

농축산식품부도 지난 달 10일 부터 돼지열병 발생농가 변경 10km 방역대 밖을 완충지역으로 설정해 집중관리하고 전염체 역할을 하는 멧돼지 소탕작전을 벌이고 있는 등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더욱이 최근 춘천 철원 등 철새도래지에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까지 검출돼 방역당국이 비상이다.

반면 파주시 관계자는 “현재 파주에는 모두 살처분을 완료해 돼지가 없고, 민통선 안팎 지역경제가 매우 심각하다”며 장단콩 축제를 강행할 방침이다.

사실 접경지역 경제는 지난 9월 17일 파주 연다산동에서 처음 돼지열병이 발생한 후 심각한 것은 사실이다.

이완배 통일촌 이장은 “민통선 지역의 주요 고객은 모두 관광객인데 안보 관광 중단으로 한 달 동안 식당에 손님이 없다”면서 “하루라도 빨리 안보 관광이 재개되길 바랄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에 따라 파주시는 긴급 대책 회의를 여는 등 안보 관광 재개를 서둘러 왔다. 파주시는 안보 관광 재개를 위해 민통선 내 출입 영농인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강화된 방역 대책을 마련하고 추가 방역 시설,방역 매뉴얼을 정비해 관광객을 맞겠다는 방침이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