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사고 1년도 안 돼 또 3명 사망… 여전한 한화의 안전불감증

폭발사고 1년도 안 돼 또 3명 사망… 여전한 한화의 안전불감증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19-02-14 23:40
업데이트 2019-02-15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잇단 대형 사고에 불안한 유성 주민

로켓 생산 대전공장서 연료 빼다가 폭발
1㎞ 떨어진 아파트 단지까지 냄새 번져
작년 5월엔 연료 주입 사고로 5명 사망
노동청 ‘작업 중지’ 명령… 조사관 급파
14일 오전 8시 42분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로켓 추진제(연료)를 빼는 과정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직원 3명이 숨졌다. 사고 수습을 마친 소방차와 119구급차량이 공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대전 뉴스1
14일 오전 8시 42분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로켓 추진제(연료)를 빼는 과정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직원 3명이 숨졌다. 사고 수습을 마친 소방차와 119구급차량이 공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대전 뉴스1
한화 대전공장에서 9개월도 안 돼 폭발 사고로 또 3명이 숨졌다.

14일 오전 8시 42분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 70동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로 A(32)씨와 B·C(25)씨 등 현장에 있던 직원 3명이 모두 숨졌다. 이 동은 다연장 로켓 무기 ‘천무’를 생산하는 곳으로 추진제(연료) 코어를 빼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육중한 70동(115㎡ 규모) 출입문이 20m쯤 날아갔을 정도로 폭발 충격은 컸다. 격실 형태로 여러 작업장이 붙었으나 작업장의 천장과 벽이 철판과 콘크리트로 지어져 파손되지 않았다. 폭발 당시 인접 작업장에는 ‘천무’ 등 로켓 완제품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 출입문이 떨어져 나간 공간으로 새어나온 시커먼 연기가 하늘로 계속 치솟았고, 매캐한 냄새가 수만명이 사는 1㎞ 거리의 아파트단지로 번졌다.

한 입주민은 “툭하면 대형 폭발 사고가 터져 불안해서 못 살겠다. 아파트 근처에서 위험 시설을 운영하면서도 한화는 도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14일 오전 8시 42분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로켓 추진제(연료)를 빼는 과정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직원 3명이 숨졌다. 사진은 사고 현장 근처의 한 건물에서 촬영한 검은 연기가 치솟는 모습. 연합뉴스
14일 오전 8시 42분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로켓 추진제(연료)를 빼는 과정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직원 3명이 숨졌다. 사진은 사고 현장 근처의 한 건물에서 촬영한 검은 연기가 치솟는 모습.
연합뉴스
경찰과 소방당국은 로켓 추진체의 점토 형태 연료(추진제)에서 코어를 빼내는 ‘이형작업’ 준비 중 폭발했다고 밝혔다. 코어와 이를 뽑아내는 장비를 수동으로 연결하던 중이었다. 추진체 완성 직전 단계다. 신경근 유성소방서 현장대응단장은 “작업장이 방호벽이어서 다른 동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현장에 유해 화학물질은 없었다”고 말했다.

숨진 A씨는 딸을 둔 가장으로 8년간 이곳에서 일했고, 직장일과 함께 대학을 다닌 B씨는 졸업을 하루 앞두고 변을 당했다.

이 공장에선 지난해 5월 29일에도 폭발 사고로 사상자 9명을 기록했다. 51동에서 로켓 추진체에 연료를 주입하다 폭발을 일으켜 2명이 현장에서 즉사하고 3명이 치료 중 숨지는 등 모두 5명이 목숨을 잃었고 4명이 다쳤다. 직원들은 당초 방염복 없이 일하다 이 사고 후에야 착용하도록 했으나 이외에 뚜렷한 안전·보호 장비가 없어 회사의 안전불감증이 또다시 폭발사고를 불렀다는 지적이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공장에 전면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고 조사관 9명을 급파해 사고 원인과 안전관리 문제 등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도 합동수사본부를 차리고 시 소방본부, 군 폭발물 전문가, 전기·가스·화약 전문기관의 협조를 얻어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다.

대전공장은 추진체를 만들던 국방과학연구소(ADD) 것을 1987년 한화가 인수했다. 화약기술을 바탕으로 1974년 방산사업에 뛰어든 한화는 대전과 충북 보은, 경북 구미, 전남 여수 등 4곳에 공장을 두고 있다. 직원 900여명이 근무하는 대전공장은 ‘천무’를 비롯한 로켓 등 유도무기를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청와대와 같은 국가보안목표시설 ‘가급’으로 보안과 출입통제가 엄격하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9-02-1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