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좋다기에’ 천연기념물 저어새 알 훔친 60대

‘몸에 좋다기에’ 천연기념물 저어새 알 훔친 60대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천해양경찰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저어새의 알을 훔쳐 식용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로 A(61)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천해양경찰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저어새의 알을 훔쳐 식용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로 A(61)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18일 밝혔다. 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 2천여 마리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는 인천시 중구 영종도 인근에 2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사진 왼쪽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제205-1호)인 저어새. 오른쪽은 저어새의 알. 인천해양경찰서
인천해양경찰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저어새의 알을 훔쳐 식용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로 A(61)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18일 밝혔다.
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 2천여 마리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는 인천시 중구 영종도 인근에 2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사진 왼쪽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제205-1호)인 저어새. 오른쪽은 저어새의 알.
인천해양경찰서
A씨는 지난달 10일 오전 10시 30분께 인천시 중구 영종도 인근 수하암에서 천연기념물 저어새 알 30여개를 훔쳐 먹은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간조 때 조개를 잡으러 바다에 들어갔다가 저어새 알을 발견하고 훔쳐 달아난 것으로 조사됐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제205-1호)인 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 2천여 마리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에는 인천시 중구 영종도 인근에 200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A씨는 경찰에서 “허리가 아파 고생하던 중에 야생알을 먹으면 좋다기에 천연기념물의 알인 줄 모르고 훔쳤다”며 “상태가 좋지 않은 알 10개는 버리고 나머지 20개는 삶아서 먹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