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현장, 동바리 없었다”…사고 부른 부실공사 정황 드러나나

“붕괴 현장, 동바리 없었다”…사고 부른 부실공사 정황 드러나나

김태이 기자
입력 2022-01-15 15:55
업데이트 2022-01-15 15: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신축 아파트 붕괴가 부실 공사로 인해 발생했음을 의심케 하는 추가 정황이 나왔다.

붕괴사고 후 남은 아파트 구조물을 살펴본 결과 하중을 견디는 동바리(비계기둥) 등 서포트가 애초부터 설치되지 않았고, 콘크리트 양생이 불량했음을 의미하는 정황들이 다수 발견됐다.

15일 A 건설사가 현산 아이파크 붕괴사고 이후 작성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붕괴사고 원인은 타설 하중에 대한 하층부 슬래브의 지지력 부족 탓으로 추정된다.

붕괴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최상층인 39층 바닥 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었는데, 그 바로 아래는 설비 등 배관이 들어가는 공간인 ‘PIT’ 층이 있고 그 아래 38층 거실 공간이 있는 구조다.

사고원인을 분석한 A 건설사 측은 시공 하중을 받는 PIT 층 슬라브가 버틸 수 있는 힘을 초과한 탓에 붕괴사고가 난 것으로 봤다.

분석 자료에 첨부된 설계도상으로는 슬라브의 높이가 균일한 다른 층과는 달리, 39층 슬라브는 높이차가 약 3개 정도로 나뉘어 콘크리트 타설 시 더욱 신중한 하중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즉 39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하중을 아래 PIT 층이 버틸 수 있는 무게를 초과해, 동바리 등 서포트를 충분히 설치했어야 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사고 후 남아있는 구조물의 현장 사진을 근거로 A 사는 “기술적 판단 미비로 서포트를 철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봤다.

A 건설사 측은 “이는 PIT층 바닥 슬래브를 완료한 후 방수·설비 배관작업으로 양생을 모두 완료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38층 부분에 동바리와 벽체 거푸집이 없는 것도 “양생 완료 판단으로 제거한 것으로 추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부실시공을 암시하는 정황도 다수 발견됐다.

붕괴 후 남아 있는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껍질이 벗겨지듯 남아 있는 모습은 “슬래브 상층 면(윗부분)이 동결 가능성을 추정케 한다”는 것이 A사의 분석이다.

또 가시처럼 남은 철근의 모습으로 봤을 때 슬래브 강도 발현 부족으로 철근 부착력이 상실됐음이 엿보였다.
온라인뉴스부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