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마음읽기]내 몫을 빼앗겨 자책하신다구요? 대신 분노하세요

[오늘마음읽기]내 몫을 빼앗겨 자책하신다구요? 대신 분노하세요

윤연정 기자
입력 2021-10-07 14:08
업데이트 2021-10-09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회>책으로 보는 마음 이야기
동화 ‘꾀많은 여우’가 들려준 교훈
중재 자처하며 이익 탐하는 이들
가장 큰 원칙인 ‘공정성’ 잊어
세상 속 ‘여우’들에 당했을 때
필요한 건 자책 아닌 분노
먹음직스러운 고기 덩어리  픽사베이 제공
먹음직스러운 고기 덩어리

픽사베이 제공
#편집자 주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신가요? ‘오늘하루 마음읽기’에서는 날씨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우리 마음속 이야기를 젊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4명이 친절하게 읽어 드립니다. 열두 번째 회에서는 전래동화인 ‘꾀많은 여우’를 통해 중재자들이 오히려 남의 이익을 탐하는 현실에서 우리는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 생각해봅니다. 정정엽 정신건강의학 전문의가 들려드릴게요.

강아지가 산길을 걸어가다 저 멀리 떨어져 있는 ‘고깃덩이’를 발견한다. 강아지가 사랑하는 고깃덩이. 강아지는 젖 먹던 힘까지 짜내어 고깃덩이를 향해 달려간다.

한편, 반대편 산길에서도 그 고깃덩이를 발견한 다른 강아지가 있다. 그 강아지 역시 온 힘을 다해 고깃덩이를 차지하러 달려간다.

두 강아지는 거의 동시에 그 고깃덩이를 잡는다. 그러고는 자기가 먼저 잡았다며 이 고깃덩이를 두고 싸우기 시작한다.

그 모습을 보던 여우는 두 강아지가 똑같이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며 중재를 시작한다.

<전래동화 ‘꾀많은 여우’(이상교 엮음, 미래엔아이세움) 가운데>

세상에는 다툼이 너무나 많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고깃덩이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것들, 예컨대 ‘인(in)서울’ 대학의 입학 정원, 연봉도 좋고 삶의 질도 좋은 취직자리, 좋은 위치의 아파트, 승리와 보상은 제한돼 있다. 하지만 자원이 한정적이라고 모든 사람들이 이를 두고 다툼만 벌이는 것은 아니다. 조금씩 양보하고, 배려하며 살기도 한다. 타협하는 삶이 모두 차지하거나 혹은 하나도 얻지 못하는 양자택일(all or none)의 투쟁만 하는 삶보다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실에서 ‘꾀 많은 여우의 중재’를 받아들인다. 사회를 구성하며 겪어 온 경험들이 고스란히 유전자와 마음의 원형에 남아 다툼이 반드시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본능적으로도 안다.

시대와 문화에 따라 이 ‘꾀 많은 여우의 중재 방법’은 조금씩 달랐다. 뜬금없는 결투가 중재의 방법일 때도 있었고, 현명한 이의 견해가 중재의 방법일 때도 있었다. 근래 들어서는 법과 사회 체계가 분쟁 대부분을 중재한다.

하지만 시대가 변해도 달라져서는 안 되는 중재의 원칙이 있다. 바로 ‘공정함’이다. 어떤 중재 방법이든 기준과 절차에 따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다.

다시 동화로 돌아가 보자. 꾀 많은 여우는 공평하게 나눠주겠다며 고기를 반으로 갈라 저울에 올린다. 그리고는 “왼쪽이 더 무겁다”며 고기를 베어먹고, 다음에는 ‘오른쪽이 더 무겁다”며 또 한 번 베어 먹는다. 그렇게 커다랗던 고깃덩이는 점점 작아져 곧 사라지고 만다.

중재자를 자처했던 꾀많은 여우는 심판으로서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인 공정함을 잊었다. 공정은커녕 중재할 수 있는 권위를 앞세워 두 강아지들이 힘들게 성취한 고깃덩이를 다 먹어버렸다. 심판이 경기를 주도하며 제 잇속만 챙긴 셈이다. 그에게는 일말의 죄책감이나 민망함조차 없다. 오히려 자신에게 고깃덩이를 빼앗긴 강아지들을 바보 취급하고 가 버린다.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이 과거와 비교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 ‘꾀 많은 여우들’이 존재한다. 중재자를 자처하며 자기 이익만 꾀하는 이들이다.

우리는 현실에서 그 여우들을 맞닥뜨리면 어찌할 바를 모른다. ‘꾀 많은 여우’를 만나게 된 강아지들처럼 ‘이럴 줄 알았으면 싸우지 말고 우리끼리 나눠 먹을걸’이라고 말하며 자책만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는 후회하고 자책해서는 안 된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분노해야 한다. 공정하지 못한 사회가 우리의 분노에 깜짝 놀랄 수 있게 말이다. ‘꾀 많은 여우들’이 다시는 우리를 바보 취급하며 우습게 보지 않도록 말이다.

나는 우리의 아이들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 운동장이 기울어져 있는지도 모르고 노력을 넘어 애를 쓰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 계속되는 실패는 사회의 공정함을 탓하기 전에 우리의 아이들을 후회하고 자책하며 절망하게 만들 것이다. 운동장이 험하고 거칠어도 좋지만 애쓴 노력의 결과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받기를 바란다.

필자인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현재 광화문숲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을 맡고 있다. 현직 의사들이 직접 글을 쓰는 정신의학신문을 창간했으며 마음 아픈 사람들이 주저 없이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없애려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가 있다.
정정엽 광화문숲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